채권/채무 · 행정
신용보증기금이 채무자 C가 피고 A, B와 체결한 근저당권설정계약 및 피고 A와 체결한 매매계약이 사해행위에 해당한다며 계약 취소와 원상회복을 청구했습니다. 하지만 법원은 이미 말소된 근저당권설정계약에 대한 취소 청구는 소의 이익이 없어 각하하고, 매매계약이 이루어진 당시 채무자 C가 무자력 상태였다는 증거가 부족하다며 기각했습니다.
신용보증기금은 채무자 C에게 빌려준 돈을 받지 못하자, C가 이 사건 부동산에 대해 피고 A 및 B와 2021. 2. 17. 근저당권설정계약을 맺고, 이어서 피고 A에게 2021. 8. 2. 이 사건 부동산을 매도한 행위가 자신의 채권을 회수하기 어렵게 만든 '사해행위'라고 주장했습니다. 이에 신용보증기금은 법원에 사해행위를 취소하고 C의 재산을 원래 상태로 돌려놓으라는 소송을 제기했습니다. 특히 C가 재산을 처분할 당시 이미 빚이 많은 '무자력' 상태였을 것이라고 보았으며, 매매계약 취소와 함께 피고 A에게 116,000,000원 및 지연이자를 지급할 것을 청구했습니다.
이 사건의 주요 쟁점은 다음과 같습니다. 첫째, 피고 A와 B에 대한 근저당권설정계약 취소 및 원상회복 청구가 적법한지, 즉 소송을 통해 보호받을 이익이 있는지 여부입니다. 둘째, 채무자 C가 피고 A에게 이 사건 부동산을 매도한 행위가 신용보증기금의 채권을 해하는 사해행위에 해당하는지, 특히 C가 매매 당시 무자력 상태였는지 여부입니다.
법원은 다음과 같이 판결했습니다.
신용보증기금은 채무자 C의 재산 처분 행위가 사해행위라고 주장하며 취소 및 원상회복을 청구했으나, 이미 말소된 근저당권에 대한 청구는 소의 이익이 없다는 이유로 각하되었고, 부동산 매매 당시 채무자 C의 무자력 상태를 입증하지 못하여 나머지 청구도 기각되었습니다. 결과적으로 신용보증기금은 소송에서 패소했으며 소송비용을 부담하게 되었습니다.
이 사건과 관련하여 적용된 주요 법령과 법리는 다음과 같습니다.
유사한 문제 상황에 처했을 때 다음 사항들을 참고하는 것이 좋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