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행사를 앞두고 경주에서 벌어지는 숙박·외식 가게들의 가격 전쟁, 이것이 과연 합리적인 현상일까요? APEC 2025 정상회의가 예정되면서 숙박비가 평소보다 최대 10배까지 인상됐다는 소식이 들려옵니다. 심지어 1박에 500만 원을 넘는 터무니없는 금액까지 등장했다고 합니다. 물론 업소 측에서는 이러한 가격을 제시한 것이 실제 예약 요구는 아니라고 변명하지만, 이런 형태 자체가 부당 요금과 소비자 분쟁의 씨앗이 되고 있습니다.
가격 인상에 더해 일부 식당과 관광지도 예약 제한이나 추가 비용 요구 등으로 고객들의 불만이 폭증하고 있습니다. 이것은 '단순한 성수기 가격 인상'의 범주를 넘어서 관광산업 전반의 신뢰도를 무너뜨릴 위험까지 내포하고 있습니다. 외국인 관광객이 느끼는 쇼핑 가격 불만 비중이 23%가 넘는 현실을 보면 바가지 요금을 통한 이미지 타격이 얼마나 심각한지 알 수 있습니다.
성공적인 APEC 개최가 경주에 관광객 급증을 안겨 줄 것은 분명하지만, 문제는 임시방편적 행정지도만으로는 이런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할 수 없다는 점입니다. 가격 통제는 시장 논리에 맡겨져 있지만, 바가지를 막을 현실적인 대책 마련이 절실합니다. 정부와 지자체는 이미 협조 서한 발송, 예약 앱 가격 노출 구조 개선 등 노력을 기울이고 있지만, 그 이상의 강한 대응이 필요해 보입니다.
경주의 이번 사례는 단순한 국제 행사 특수가 아니라 한국 여행 문화의 취약점을 드러냅니다. 나만 편하게, 나만 더 벌자는 행태가 결국 자신들의 발목을 잡는다는 사실을 명심해야 합니다. 바가지 요금은 단순히 잠깐의 이익을 넘어 장기적인 관광산업의 성장과 한국 이미지에 치명상을 입힙니다. 이 문제에 대한 국민적 관심과 정부의 책임 있는 법률·정책적 대응이 반드시 필요합니다. 우리의 여행이 보다 공정하고 즐거운 경험으로 남으려면 반드시 이러한 노력이 동반돼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