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행정
서○석 씨는 자신에게 내려진 절도 사건에 대한 의정부지방검찰청 검사의 기소유예처분이 헌법상 보장된 평등권과 행복추구권을 침해했다고 주장하며 이 처분을 취소해달라는 헌법소원을 제기했습니다. 헌법재판소는 검찰의 수사 과정이나 결정에 중대한 잘못이 없다고 판단하여 서○석 씨의 주장을 받아들이지 않았습니다.
이 분쟁은 2015년 형제34569호 절도 혐의로 수사를 받던 서○석 씨에게 의정부지방검찰청 검사가 최종적으로 '기소유예' 처분을 내리면서 시작되었습니다. 기소유예는 죄는 인정되지만 여러 정상을 참작하여 재판에 넘기지 않는 검찰의 처분입니다. 서○석 씨는 이 기소유예 처분이 자신의 잘못에 비해 과도하거나 다른 사람들과의 형평성에 어긋나고 행복추구권을 침해한다고 생각하여 이 처분의 취소를 구하는 헌법소원을 2015헌마1091호로 제기하게 된 것입니다.
의정부지방검찰청 검사가 2015년 형제34569호 절도 사건에 대해 청구인에게 내린 기소유예처분이 헌법에 보장된 청구인의 평등권과 행복추구권을 침해했는지 여부입니다. 특히 검찰의 수사나 법률 적용 증거 판단 과정에 헌법재판소가 개입할 정도로 중대한 오류나 자의적인 처분이 있었는지가 핵심 쟁점입니다.
헌법재판소는 청구인 서○석 씨가 제기한 기소유예처분 취소 심판청구를 기각했습니다. 이는 검찰의 기소유예처분이 헌법상 기본권을 침해할 정도로 위법하거나 부당하다고 보지 않는다는 판단입니다.
헌법재판소는 사건 기록을 면밀히 검토한 결과 피청구인인 검사가 현저히 정의와 형평에 반하는 수사를 했거나 헌법 해석 법률 적용 증거 판단에서 결정에 영향을 미칠 중대한 잘못을 저질렀다고 볼 증거가 없다고 판단했습니다. 또한 검사의 기소유예처분이 헌법재판소가 개입해야 할 만큼 자의적인 처분이라고 볼 자료도 없으므로 청구인이 주장하는 기본권 침해가 있었다고 볼 수 없다고 결론 내렸습니다.
기소유예 처분은 죄는 인정되나 여러 사정을 고려하여 재판에 넘기지 않는 검찰의 처분입니다. 만약 본인이 기소유예 처분을 받았고 이 처분이 부당하다고 생각하여 헌법소원을 고려한다면 검찰의 수사 과정에서 절차적 위법성이나 법률 적용 증거 판단에 명백한 오류가 있었음을 입증할 수 있는 객관적인 증거와 논리적 주장이 매우 중요합니다. 단순히 결과가 만족스럽지 않다는 이유만으로는 헌법소원이 인용되기 어렵습니다. 자신의 주장을 뒷받침할 자료와 논리를 철저히 준비하고 이를 명확하게 제시하는 것이 중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