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타 민사사건 · 병역/군법
피고인 A는 자신이 일하는 휴대폰 매장에서 피해자 B와 K에게 허위 사실을 말하여 그들 명의로 각각 여러 대의 휴대폰을 개통하게 했습니다. A는 휴대폰 개통 대가로 현금을 지급하거나 요금을 책임지겠다고 약속했으나 실제로는 이 휴대폰들을 가로채 개인적인 용도로 처분했습니다. 피해자 B는 시가 2,939,160원 상당의 휴대폰 2대와 2,230,800원 상당의 휴대폰 2대, 총 4대의 휴대폰을 교부했으며, 피해자 K는 시가 1,152,800원 상당의 휴대폰 1대와 2,305,600원 상당의 휴대폰 2대, 총 3대의 휴대폰을 교부하여 총 7대의 휴대폰에 대한 사기 피해를 입었습니다. 법원은 A에게 각 사기죄에 대해 징역 3월씩을 선고했고, 피해자 B의 배상신청은 배상 책임 범위가 명백하지 않다는 이유로 각하했습니다.
피고인 A는 휴대폰 판매점에서 일하며 경제적으로 어려운 피해자들에게 접근했습니다. 피해자 B에게는 '명의를 빌려 휴대폰을 개통해주면 휴대폰 1대당 35만원을 주고 개통 후에는 해지하여 손해가 없도록 하겠다'고 거짓말하여 총 4대의 휴대폰을 가로챘습니다. 피해자 K에게는 '명의로 휴대폰을 개통해주면 돈을 벌게 해주고, 휴대폰 기계값과 사용요금은 자신이 내주겠다'고 거짓말하여 총 3대의 휴대폰을 편취했습니다. 피고인 A는 약속을 이행할 의사나 능력이 없었으며, 피해자들이 개통해 준 휴대폰을 자신의 개인적인 이득을 위해 처분했습니다. 이로 인해 피해자들은 휴대폰 요금과 할부금 등 경제적인 손해를 입게 되었고, 피고인 A의 사기 행위로 인해 발생한 피해를 회복하려는 과정에서 분쟁이 발생했습니다.
피고인 A가 피해자들을 기망하여 휴대폰을 가로챈 행위가 사기죄에 해당하는지 여부, 피고인의 동종 전과 및 누범 여부를 고려한 적절한 형량, 그리고 피해자의 배상신청이 받아들여질 수 있는지 여부가 주요 쟁점이었습니다.
법원은 피고인 A에게 2019고단5176 사건의 각 죄에 대하여 징역 3월을, 2020고단1076 사건의 각 죄에 대하여 징역 3월을 각 선고했습니다. 또한 피해자 B의 배상신청은 배상 책임의 범위가 명백하지 않다는 이유로 각하했습니다.
이 사건은 피고인이 이전에도 동종 범죄로 여러 차례 처벌받은 전력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죄의식 없이 반복적으로 범행을 저질렀다는 점이 불리하게 작용하여 각 사건에 대해 징역형이 선고되었습니다. 그러나 확정된 다른 전과들과 형평성을 고려하고 피고인이 일부 범행을 자백한 점 등이 참작되어 최종 형량이 결정되었습니다. 피해자의 배상신청은 배상책임 범위의 불명확성을 이유로 각하되어 피해자는 별도의 민사 소송을 통해 손해배상을 청구해야 할 수도 있습니다.
이 사건에 적용된 주요 법령은 다음과 같습니다.
형법 제347조 제1항 (사기죄): '사람을 기망하여 재물을 교부받거나 재산상의 이익을 취득한 자는 10년 이하의 징역 또는 2천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한다.' 이 법조항은 사기죄의 기본 규정입니다. 피고인 A가 피해자들에게 거짓말을 하여(기망) 휴대폰이라는 재물을 넘겨받았으므로(재물 교부), 사기죄가 성립하게 됩니다.
형법 제37조 (경합범) 및 제38조 제1항 제2호, 제50조: 이 법조항들은 여러 개의 죄를 동시에 저지르거나 이미 판결이 확정된 죄가 있는 경우 형벌을 어떻게 정할지에 대한 경합범 처리에 관한 것입니다. 피고인 A는 이 사건 외에도 이미 다른 사기죄 및 도로교통법 위반죄 등으로 유죄 판결이 확정된 전력이 있었기 때문에, 법원은 이러한 전과들을 고려하여 형평성에 맞게 형량을 정했습니다.
소송촉진 등에 관한 특례법 제32조 제1항 제3호 및 제25조 제3항 제3호 (배상명령 각하): 이 법은 형사사건 피해자가 손해배상을 받기 위해 형사소송 절차 내에서 간편하게 배상을 신청할 수 있도록 한 제도입니다. 그러나 이 사건에서처럼 '배상책임의 범위가 명백하지 아니한 경우'에는 법원이 배상신청을 각하할 수 있습니다. 이는 형사 법원이 배상액을 신속하게 결정하기 어려운 경우, 피해자에게 별도의 민사 소송을 통해 손해배상을 청구하도록 하는 취지입니다.
만약 다른 사람이 휴대폰 개통이나 통장 개설 등 자신의 명의를 빌려달라고 요구하며 금전적 이득을 약속한다면, 이는 사기나 대포폰·대포통장 개설 등 불법 행위와 연관되어 있을 가능성이 매우 높으므로 각별히 주의해야 합니다.
어떠한 경우에도 자신의 명의를 다른 사람에게 빌려주어 금융 거래나 통신 서비스 개설에 이용하게 해서는 안 됩니다. 명의를 빌려준 사람은 비록 자신이 직접적으로 불법 행위에 가담하지 않았더라도, 이후 발생할 수 있는 모든 법적, 금전적 책임에서 자유로울 수 없습니다. 휴대폰 개통 명의를 빌려줄 경우, 개통된 휴대폰이 범죄에 이용되거나, 요금 및 할부금이 명의자에게 청구되어 큰 재산상 피해를 입을 수 있습니다.
만약 이미 이러한 제안에 속아 명의를 빌려주었거나, 금전적 손해를 입었다면 즉시 경찰에 신고하고 피해 증거 자료(대화 내용, 계약서, 개통 내역, 요금 청구서 등)를 확보해야 합니다. 형사 재판 과정에서 배상명령을 신청할 수 있지만, 이 사건처럼 배상 책임 범위가 명확하지 않은 경우 각하될 수 있으므로, 별도로 민사 소송을 통해 손해배상을 청구하는 방안도 고려해야 합니다.
창원지방법원마산지원 2020
청주지방법원 2020
창원지방법원통영지원 2020
서울서부지방법원 20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