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손해배상
임차인인 원고가 공인중개사 피고 B의 중개로 임대차 계약을 체결했으나, 해당 부동산에 신탁등기가 되어 있었음에도 피고 B이 이를 제대로 설명하지 않았습니다. 이로 인해 임대차 종료 후 임대인으로부터 보증금 중 4,500만 원을 돌려받지 못하게 되자, 원고는 공인중개사 피고 B과 피고 B이 가입된 공인중개사 협회인 피고 C협회를 상대로 손해배상을 청구했습니다. 법원은 피고 B의 설명 의무 위반 과실을 인정하면서도, 원고에게도 주의의무 소홀이 있었다는 점을 고려하여 과실상계 50%를 적용하여 피고들이 공동으로 원고에게 2,250만 원을 지급하라고 판결했습니다.
원고 A는 2021년 11월 15일 공인중개사 피고 B의 중개로 임대보증금 7,000만 원, 월 차임 20만 원의 임대차 계약을 체결하고 보증금을 지급했습니다. 이 사건 부동산은 임대차 계약 당시 신탁등기가 마쳐져 있었는데, 원고는 신탁등기 사실을 확인하고 피고 B에게 질문했습니다. 하지만 피고 B은 신탁원부의 열람이나 신탁사의 임대차 동의서 교부 등 적절한 설명 없이 '아무런 문제가 없다'고 답했습니다. 임대차 계약이 2023년 12월 7일 종료된 후, 임대인은 원고에게 보증금 7,000만 원 중 2,500만 원만을 반환하고 나머지 4,500만 원은 돌려주지 못했습니다. 이에 원고는 피고 B의 공인중개사로서의 설명 의무 위반으로 인한 손해배상과, 피고 B과 공제계약을 체결한 피고 C협회에 공인중개사법에 따른 공제금 지급을 청구했습니다. 피고들은 원고가 신탁부동산에 대한 설명을 충분히 듣고 임대차 계약 확약서에 서명했으므로 책임이 없다고 주장했으나, 법원은 확약서 서명의 진정성을 인정하기 어렵다고 판단했습니다.
이 사건의 주요 쟁점은 다음과 같습니다. 첫째, 공인중개사가 신탁등기된 부동산의 임대차 계약을 중개할 때 임차인에게 신탁관계의 법적 의미와 위험성에 대해 어느 범위까지 설명해야 하는지입니다. 둘째, 공인중개사가 설명 의무를 위반하여 임차인에게 손해가 발생했을 때 손해배상 책임의 범위와 임차인의 주의의무 소홀이 손해배상액 산정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과실상계)입니다. 셋째, 공인중개사 협회가 공인중개사법에 따라 공제사업자로서 중개인의 과실로 인한 손해에 대해 어떠한 책임을 지는지입니다.
법원은 다음과 같이 판결했습니다.
법원은 신탁등기가 되어 있는 부동산에 대한 임대차계약을 중개할 경우, 공인중개사는 신탁원부를 제시하며 신탁관계의 법적 의미와 위험성을 성실하고 정확하게 설명해야 할 의무가 있다고 명확히 밝혔습니다. 공인중개사가 이러한 설명 의무를 위반하여 임차인에게 재산상 손해를 입힌 경우 손해배상 책임이 인정됩니다. 또한, 공인중개사 협회는 공제사업자로서 중개사의 과실로 인한 손해를 공동으로 배상할 책임이 있습니다. 다만, 임차인 또한 본인의 거래 관계 조사·확인 책임을 게을리하여 손해 발생 및 확대에 기여한 부주의가 인정된다면, 과실상계 원칙에 따라 손해배상액이 제한될 수 있음을 확인시켜 준 판결입니다.
이 사건 판결에 적용된 주요 법령과 법리는 다음과 같습니다.
신탁된 부동산과 관련된 임대차 계약을 체결할 때는 다음과 같은 점들을 주의 깊게 살펴보는 것이 중요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