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기 · 기타 형사사건 · 금융 · 비밀침해/특허
피고인 A, B, C, D는 가상화폐 투자를 빙자한 유사수신 및 다단계 판매 사기 등 혐의로 기소되어 원심에서 유죄 판결을 받았습니다. 이들은 원심의 형량이 너무 무겁다는 양형부당 주장과 일부 사실오인 및 법리오해 주장을 제기하며 항소했습니다. 항소심 법원은 피고인 A, B, C의 양형부당 주장을 일부 받아들여 형량을 감경하고, 특히 피고인 B의 배우자에 대한 사기 혐의는 친족상도례를 적용하여 형을 면제했습니다. 반면, 총괄 책임자 D의 항소는 기각되어 원심의 형량이 유지되었습니다.
이 사건은 D이 주식회사 P를 운영하며 가상화폐 'G'의 상장과 고수익을 미끼로 다단계 유사 조직을 구성하고 불특정 다수로부터 불법적으로 자금을 모집한 사건입니다. D은 총괄CFO로서 패키지 상품의 가격, 투자금 지출내역, 직급별 수당 비율 등에 대해 논의하며 사기 범행을 주도했습니다. 피고인 A, B, C는 '부CFO' 직급으로 상위 직급자의 지시에 따라 투자자들에게 코인 관련 상품을 판매하고 재투자를 권유하는 등 적극적으로 가담했습니다. 이들은 등록되지 않은 다단계 판매업을 영위하며 재화 거래를 가장하여 사실상 금전거래만을 하였고, 유사수신 행위를 통해 총 21억 7천2백5십만 원 규모의 투자금을 모집했습니다. 특히 D은 수사와 언론 보도가 임박하자 범죄수익 약 958억 원 중 일부를 추적이 어려운 현금으로 교환하여 은닉하려 했습니다. 피해자들은 만기가 도래한 투자금과 수익금을 돌려받지 못하고 코인 상장을 믿고 재투자하다가 더 큰 손해를 입었습니다.
이번 사건의 주요 쟁점은 다음과 같습니다.
항소심 법원은 다음과 같이 판결했습니다.
법원은 피고인 A, B, C의 항소에 대해 양형부당 주장을 받아들여 형량을 감경했습니다. 특히 피고인 B의 경우 배우자에 대한 사기 혐의는 친족상도례 적용으로 형이 면제되었으며, 일부 유사수신 및 방문판매 위반 혐의도 무죄로 판단되었습니다. 반면, 총괄 책임자 D에 대해서는 범행의 죄질이 불량하고 양형 조건에 별다른 변화가 없다고 보아 항소를 기각하고 원심의 형량을 유지했습니다. 이는 유사수신 및 다단계 사기 범죄에서 가담 정도와 역할, 친족 관계 여부 등이 양형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이 사건과 관련하여 적용되거나 언급된 주요 법령과 법리는 다음과 같습니다.
유사한 상황에 처했을 때 다음 사항들을 참고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