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타 민사사건
피고 주식회사 B가 자회사인 피고 주식회사 C를 완전자회사로 편입하는 과정에서 주식의 포괄적 교환이 이루어졌습니다. 이에 대해 피고 C의 소액 주주였던 원고는 주식교환의 대가가 불공정하게 산정되었고, 주식교환 절차에도 여러 위법 사항이 있었다며 주식교환 무효 확인 소송을 제기했습니다. 원고는 교환가액이 주가만을 기준으로 불공정하게 산정되었고, 자산가치를 반영하지 않았다고 주장했습니다. 또한 주주총회 소집 통지 및 공시의 하자, 주주의 부담이 가중되어 주주 전원의 동의가 필요했음에도 이를 얻지 못한 점, 특별 이해관계인인 이사들이 이사회 의결권을 행사한 점 등 절차적 위법도 지적했습니다. 그러나 법원은 원고의 모든 주장을 기각하고 피고들 사이의 주식의 포괄적 교환이 유효하다고 판단했습니다. 법원은 교환가액이 자본시장법 등 관련 법령에 따라 적법하게 산정되었으며, 주주총회 통지 및 이사회 결의 과정에 절차적 하자가 없다고 보았습니다. 또한 현금 교부 방식의 주식교환이 상법상 허용된다고 판단했습니다.
피고 B는 2019년 11월 26일, 피고 C의 주식을 모두 인수하여 완전자회사로 편입하기 위해 주식의 포괄적 교환 계약을 체결했습니다. 이 계약에 따라 피고 B는 피고 C 주주들에게 신주 대신 현금을 교부하기로 했으며, 2020년 1월 29일 각 주주총회에서 주식교환이 승인되었습니다. 이후 피고 C는 2020년 4월 16일 유가증권시장에서 상장폐지되었습니다. 이 과정에서 피고 C의 주주였던 원고는 주식교환의 조건과 절차에 문제가 있다고 주장하며 소송을 제기했습니다. 특히 피고 C의 주가가 일시적으로 하락한 시기에 주식교환이 이루어져 교환가액이 불공정하다고 보았고, 주주들에게 불리한 조건을 강요하면서도 법정 절차를 제대로 지키지 않았다는 점을 문제 삼았습니다.
회사의 주식 포괄적 교환에서 교환대가 산정이 공정하게 이루어졌는지 여부, 주주총회 소집 통지 및 이사회 결의 등 주식교환 절차에 법적 하자가 있었는지 여부, 그리고 주식에 갈음하여 현금을 교부하는 방식의 주식교환이 상법상 허용되는지 여부가 주요 쟁점이었습니다.
법원은 원고의 모든 주장을 받아들이지 않고, 피고 B와 피고 C 사이의 주식의 포괄적 교환이 법률상 문제가 없다고 보아 원고의 청구를 기각하였습니다. 이에 따라 원고가 제기한 주식교환 무효 확인 소송은 최종적으로 받아들여지지 않았습니다.
서울고등법원 2021
서울남부지방법원 2017
서울서부지방법원 2012
서울중앙지방법원 20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