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타 민사사건
원고와 피고 B는 이혼 후 D 프랜차이즈 가맹사업과 관련된 서비스표 및 사업권의 귀속을 두고 분쟁을 겪었습니다. 피고 B는 원고로부터 인감증명서를 받아 원고 명의 서비스표를 자신 앞으로 임의로 이전한 뒤, 지인인 피고 C에게 다시 이전 등록하였습니다. 여러 민사 소송 끝에 원고와 피고 B는 관련사건 조정 및 별도합의를 통해 피고 B가 원고에게 약 15억 원의 약정금을 분할 지급하고, 약정금 지급을 지체할 경우 피고 B가 원고에게 서비스표권과 가맹사업권을 이전하기로 합의했습니다. 그러나 피고 B는 7억 원만 지급하고 나머지 8억 원을 지급하지 않았고, 원고 또한 D 가맹점 사업권 130개 중 일부의 양도 의무를 불이행했습니다. 이에 원고는 피고 B에게 서비스표권 및 가맹사업권 이전을, 피고 C에게는 이전등록 말소를 청구했습니다. 법원은 피고 B가 약정금 잔금을 지급하지 않은 사실이 인정되므로 원고에게 특정 서비스표권 및 가맹사업권 이전을 이행해야 한다고 판결했습니다. 피고 B의 채권 가압류, 신의칙 위반, 동시이행 항변 등은 받아들여지지 않았으나, 원고의 가맹사업권 양도 불이행으로 인한 피고 B의 손해배상채권(약 3억 4천 5백만 원)이 인정되어 약정금 채무 중 일부와 상계 처리되었습니다. 한편, 피고 C에 대한 청구는 기존 조정의 기판력 및 소의 이익 부족, 증거 부족 등을 이유로 대부분 각하되거나 기각되었습니다.
이 사건은 이혼한 부부가 공동으로 운영하던 프랜차이즈 사업의 권리 정산 과정에서 발생했습니다. 전 남편인 피고 B가 전 부인인 원고 A의 인감증명서를 이용하여 원고 소유의 서비스표를 임의로 자신에게 이전한 뒤, 또 다른 피고 C에게 다시 이전 등록하면서 분쟁이 시작되었습니다. 이후 두 전 배우자는 기존 소송들을 정리하는 과정에서 약정금 지급 및 사업권·서비스표권 이전 등을 골자로 하는 합의를 했으나, 피고 B가 약정금을 일부만 지급하고 원고 A도 사업권 양도 의무를 제대로 이행하지 않으면서 합의 내용의 이행을 둘러싼 또 다른 법적 다툼으로 이어지게 되었습니다. 이는 부부 관계가 끝난 후에도 복잡하게 얽힌 사업상의 권리 관계를 제대로 정리하지 못해 발생하는 전형적인 분쟁 사례입니다.
피고 B가 약정금 채무를 불이행한 경우, 합의에 따라 원고에게 서비스표권과 D 가맹사업권 이전을 이행해야 하는지 여부가 핵심 쟁점입니다. 피고 B는 채권 가압류, 원고의 채무 불이행으로 인한 손해배상 상계, 동시이행 항변 등을 주장하며 이전 의무를 다투었습니다. 또한, 피고 C에게 이전된 서비스표권에 대한 이전등록 말소 또는 출원인 명의변경 청구가 기판력 또는 통정허위표시의 요건을 충족하는지 여부도 중요하게 다루어졌습니다.
법원은 다음과 같이 판결했습니다.
결론적으로 원고 A는 전 배우자 피고 B에게 합의된 특정 서비스표권(3개) 및 서비스표등록출원(1개)의 이전과 D 가맹사업권(74개 가맹점)의 양도를 받아낼 수 있게 되었습니다. 이는 피고 B가 약정금 잔액을 지급하지 않아 발생한 의무입니다. 다만, 원고 A가 사업권 양도 의무를 불이행한 부분에 대한 피고 B의 손해배상채권이 인정되어 약정금 채무의 일부가 상계 처리되었고, 원고의 피고 C에 대한 청구는 대부분 각하되거나 기각되어 C로부터 서비스표를 되찾지는 못하게 되었습니다. 이 판결은 이혼 후 사업 관계를 정리하는 과정에서 발생한 복잡한 채무 불이행과 권리 이전 문제를 다룬 사례로, 계약의 구체적인 내용과 선후 관계, 그리고 이행 불능 시의 책임 관계를 명확히 했습니다.
이 사건에서 주요하게 다루어진 법령 및 법리는 다음과 같습니다.
.jpg&w=256&q=1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