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상 | 지역사회 흡연자(청소년 포함) 누구나 |
서비스 내용 | √ 금연교육 및 금연상담서비스 √ CO 또는 코티닌 측정 √ 금연보조제 및 금연홍보물품 제공(6개월) |
제공기관 | 전국 보건소 |
이용기간 | 평일 오전 9시 ~ 오후 6시 |
이용금액 | 무료 |
신청절차 | 전국 보건소 금연클리닉에 문의 |

행정
금연을 원하는 사람은 금연클리닉, 금연캠프, 흡연 예방교육 등 다양한 금연에 관한 서비스를 제공 받을 수 있습니다.
대상 | 지역사회 흡연자(청소년 포함) 누구나 |
서비스 내용 | √ 금연교육 및 금연상담서비스 √ CO 또는 코티닌 측정 √ 금연보조제 및 금연홍보물품 제공(6개월) |
제공기관 | 전국 보건소 |
이용기간 | 평일 오전 9시 ~ 오후 6시 |
이용금액 | 무료 |
신청절차 | 전국 보건소 금연클리닉에 문의 |
< 출처: 국가금연지원센터 >
금연을 원하는 사람이 성공적으로 금연할 수 있도록 금연 및 흡연예방 관련 정보 제공, 30일 금연 및 금연유지 프로그램 등 맞춤형 금연상담 제공 금연지침서와 SMS 문자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국가금연지원센터 참고).
이용시간은 월 ~ 금요일 오전 9시 ~ 오후 10시, 주말 및 공휴일 오전 9시 ~ 오후 6시입니다.
유형 | 전문치료형 | 입원환자 대상 금연지원서비스 | |
대상 | 개인 (장기.고도흡연자) | 개인(금연필요급.만성질환자) | |
서비스 내용 | 4박 5일간 지역금연지원센터 병원등에서 의료인이 제공하는 전문 금연프로그램 제공 및 6개월 간 사후관리 | 지역금연지원센터 병원에 입원한 환자들의 건강상태에 따른 금연동기 강화, 맞춤형 금연프로그램 제공 및 6개월 간 사후관리 | |
제공기관 | 전국 17개 금연지원센터 | ||
이용기간 | 센터별 일정을 참조 | 연중 계속 | |
이용금액 | 참가비 10만원. 캠프수료 후 인센티브 제공 | 무료 | |
신청절차 | 온라인/지역금연지원센터 방문접수 * 온라인 접수 후 3일 이내에 상담사가 전화 드립니다. | 오프라인(방문,전화등)접수 *신청시 해당 17개 병원에 입원중인 환자만 가능합니다. |
유형 | 위기청소년 | 여성 | 장애인 | 중소규모사업장 근로자 | 저소득층 |
대상 | 학교를 다니지 않는 청소년(만 9세~24세), 단체 및 시설(5인 이상) | 흡연율이 높은 여성 사업장, 단체 등(5~20인) | 장애인 단체, 기관 등 (5~20인) | 300인 미만 중소사업장(5~20인) | 국민기초생활보장법에 따른 수급권자, 차상위계층 등 |
서비스 내용 | 보건소 등 기존 서비스를 이용하기 어렵거나, 흡연율이 높고 금연하기 어려운 환경에 있는 흡연자가 있는 곳에 찾아가 금연상담(대면, 전화) 등 6개월 간 금연프로그램 제공 | ||||
제공기관 | 전국 17개 지역금연지원센터 | ||||
이용기간 | 연중 계속 | ||||
이용금액 | 무료 | ||||
신청절차 | 온.오프라인(방문, 전화 등) 접속 |
대상 | 금연치료를 희망하는 모든 국민 |
서비스 내용 | √ 8~12주 동안 6회 이내 의사의 진료 상담 √ 금연치료 의약품, 니코틴 보조제 구입비용 지원 √ 3회차부터 진료 약제비 본인부담금 면제 * 저소득층 및 의료급여 전액 무료 |
이용방법 | 금연치료 의료기관 방문 * 병·의원에 금연 진료 예약 후 방문 |
서비스 혜택 | √ 금연치료 이수 인센티브 √ 금연치료 프로그램 이수한 후 신청하면 1~2회차에 발생한 본인부담금 전액 환급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