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타 민사사건
A지역주택조합은 주식회사 B에게 사업 부지를 매도하는 계약을 체결했으나, B사가 매매대금 지급 의무를 제대로 이행하지 않았다고 주장하며 소유권이전등기 말소 및 매매대금 지급을 청구했습니다. 법원은 B사가 매매계약 조건에 따라 매매대금 지급 의무를 이행했다고 판단하여 조합의 청구를 모두 기각했습니다. 핵심 쟁점은 지역주택조합이 과거 조합원들의 대출 채무를 연대보증하고 담보를 제공한 행위가 적법했는지 여부와, B사가 이 채무를 대신 변제한 것이 매매대금 지급으로 인정되는지 여부였습니다.
A지역주택조합은 주식회사 B에게 아파트 신축 사업 부지인 여러 필지의 부동산(이 사건 부동산)을 220억 원에 매도하는 계약을 체결했습니다. 계약에는 B사가 매매대금 지급에 갈음하여 근저당권자 및 관련 채권자들에게 직접 지불할 수 있다는 조항이 포함되어 있었습니다. 이 사건 부동산에는 A조합이 조합원 분담금 대출에 대해 연대보증하고 담보를 제공한 근저당권이 설정되어 있었습니다. B사는 이 근저당권자들에게 총 7,643,000,000원을 지급(변제)하고 다른 매매대금도 지급했습니다. A조합은 B사가 근저당권자들에게 지급한 돈을 적법한 매매대금 변제로 볼 수 없다고 주장하며, B사가 매매대금 지급 의무를 이행하지 않았으므로 매매계약을 해제하고 소유권이전등기를 말소하며, 미지급된 매매대금 및 지연손해금을 청구했습니다. 또한 B사가 원고를 해할 목적으로 C사에 부동산을 신탁한 행위를 사해신탁으로 보아 취소를 구했습니다.
주요 쟁점은 다음과 같습니다.
법원은 원고 A지역주택조합의 주위적 청구(매매계약 해제 및 소유권이전등기 말소 청구)와 예비적 청구(매매대금 및 지연손해금 지급 청구, 사해신탁 취소 청구)를 모두 기각했습니다. 소송비용은 원고가 부담하도록 했습니다.
법원은 다음과 같은 이유로 원고의 청구를 기각했습니다.

인천지방법원 2023
서울고등법원 2019
전주지방법원 2021
서울서부지방법원 20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