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채권/채무 · 행정
원고 A는 채무자 C에게 대여금 채권을 가지고 있었으나, C은 이를 갚지 못했습니다. 이후 C이 상속받은 부동산을 자신의 배우자인 피고 B에게 대물변제 형식으로 소유권이전등기를 해주자, 원고 A는 이 행위가 다른 채권자들의 채권을 해치는 '사해행위'라고 주장하며 소송을 제기했습니다. 법원은 원고의 주장을 받아들여 C과 피고 B 사이의 대물변제 계약을 취소하고 피고 B 명의의 소유권이전등기를 말소하라고 판결했습니다.
원고 A는 2018년 3월 15일 채무자 C에게 4천만원 및 이에 대한 2013년 3월 18일부터 다 갚는 날까지 연 30%의 이자를 지급하라는 내용의 지급명령을 받아 확정된 대여금 채권을 가지고 있었습니다. 이후 C은 2021년 3월 12일 돌아가신 부모 D로부터 부동산을 상속받았고, 2022년 4월 5일에 이 부동산을 자신의 배우자인 피고 B에게 대물변제 형식으로 소유권이전등기를 해주었습니다. 이전에 피고 B는 2021년 3월 12일 증여를 원인으로 같은 부동산에 소유권이전등기를 마쳤다가 다른 채권자(전북신용보증재단)로부터 사해행위 취소소송을 당해 2022년 3월 14일 등기가 말소된 이력이 있었습니다. 원고 A는 C이 자신을 포함한 채권자들에게 빚을 갚지 않고 배우자에게 재산을 넘긴 이 행위가 사해행위이므로 취소해달라고 법원에 소송을 제기했습니다.
채무자 C가 재산이 부족한 상태에서 자신의 배우자인 피고 B에게 부동산을 대물변제 방식으로 넘겨준 행위가 다른 채권자들의 이익을 해치는 '사해행위'에 해당하는지, 그리고 이 부동산을 받은 피고 B가 사해행위임을 몰랐다고 주장하는 '선의 항변'이 인정되는지 여부입니다.
법원은 피고 B와 C 사이에 2022년 4월 5일 체결된 대물변제 계약을 취소하고, 피고 B는 C에게 전주지방법원 김제등기소 2022년 4월 19일 접수 제8441호로 마친 소유권이전등기의 말소등기절차를 이행하라고 판결했습니다. 소송 비용은 피고 B가 부담하도록 했습니다.
법원은 채무자 C가 자신의 배우자에게 부동산을 넘겨준 행위가 채권자 A의 채권을 포함한 다른 채권자들의 공동 담보를 부족하게 만드는 사해행위로 인정했습니다. 또한 피고 B가 이 행위가 사해행위임을 몰랐다는 주장은 받아들여지지 않았습니다. 따라서 채권자의 청구를 인용하여 대물변제 계약을 취소하고 부동산 등기를 원상회복시키도록 명령했습니다.
이 사건은 민법 제406조에서 규정하는 '채권자취소권'과 관련이 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