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타 민사사건
원고들은 경매를 통해 P상가 건물 중 일부인 '이 사건 건물'의 소유권을 취득한 후, 해당 건물 내 점포를 점유하고 있는 피고들에게 점포 인도를 요구했습니다. 원고들은 자신들이 적법하게 소유권을 취득했으므로 피고들의 임대차 계약은 자신들에게 대항할 수 없다고 주장했습니다. 그러나 피고들은 해당 상가가 불법 증축되어 등기부와 실제 현황이 크게 다르며, 자신들은 복수의 소유주 및 관리 주체와 임대차 계약을 맺고 있으므로 원고들이 주장하는 '이 사건 건물'의 범위가 자신들이 점유하는 점포 전체를 포함하는지 불분명하다고 반박했습니다. 법원은 P상가 건물이 불법 증축으로 인해 등기부와 실제 현황이 일치하지 않고, 피고들이 여러 당사자와 복합적인 임대차 계약을 맺고 있는 점 등을 종합하여, 원고들이 경매로 취득한 '이 사건 건물'이 피고들이 점유하는 점포 전체를 포함한다고 인정하기 어렵다고 판단하여 원고들의 청구를 모두 기각했습니다.
1958년에 준공된 P상가 건물은 2002년 구조안전점검에서 위험건축물로 판정받았으며, 2005년에 철근콘크리트 구조를 철골 구조로 변경하고 2층에서 4층으로 불법 증축하는 공사가 이루어졌습니다. 이로 인해 등기부상 기재와 실제 건물 현황이 불일치하게 되었습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건물 소유주들은 '지주회'를 설립하여 건물 관리를 조율하며 복잡한 권리 관계 속에서 임대차 계약을 맺어왔습니다. 원고들은 2015년 임의경매를 통해 P상가 건물의 일부인 '이 사건 건물'을 낙찰받아 소유권을 취득했으나, 피고들은 이미 해당 건물 내 특정 점포를 각기 다른 소유주들과 복수의 임대차 계약을 통해 점유하고 있었습니다. 원고들은 자신들이 소유권을 취득했으니 피고들이 점유한 점포를 인도해야 한다고 주장했으나, 피고들은 원고들이 소유권을 주장하는 '이 사건 건물'이 자신들이 점유한 점포 전체를 포함하는지 불분명하다고 반박하며 인도를 거부하여 분쟁이 발생했습니다.
원고들이 경매로 취득한 '이 사건 건물'이 피고들이 점유하고 있는 '이 사건 각 점포' 전체를 포함하는지에 대한 여부와, 등기부상 건물 현황과 실제 건물 현황이 불일치하는 상황에서 원고들이 경매로 취득한 소유권의 구체적인 범위 및 피고들의 점유권원의 유효성 판단.
원고들의 피고들에 대한 청구를 모두 기각하고 소송비용은 원고들이 부담한다.
법원은 P상가 건물의 불법 증축으로 인한 등기부와 실제 건물 현황의 불일치, 그리고 피고들이 여러 소유주 및 관리 주체와 복잡하게 임대차 계약을 맺고 있는 점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했습니다. 이에 원고들이 경매로 취득한 '이 사건 건물'이 피고들이 점유하는 점포 전체를 포함한다고 인정하기에는 증거가 부족하다고 판단하여, 원고들의 점포 인도 청구를 최종적으로 받아들이지 않았습니다.
민법 제213조(소유물반환청구권): 소유자는 그 소유에 속한 물건을 점유한 자에 대하여 반환을 청구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점유자가 그 물건을 점유할 권리가 있는 때에는 반환을 거부할 수 있습니다. 이 사건에서 원고들은 '이 사건 건물'의 소유권을 근거로 인도를 청구했으나, 원고들이 소유권을 취득했다고 주장하는 범위('이 사건 건물')가 피고들이 점유하는 범위('이 사건 각 점포' 전체)와 명확히 일치하는지 입증되지 않아 청구가 기각되었습니다. 집합건물의 소유 및 관리에 관한 법률(집합건물법): 이 법률은 여러 사람이 한 건물 안에서 구분하여 소유하는 집합건물의 소유 관계를 규정합니다. 구분소유권은 건물의 특정 부분이 다른 부분과 구조상, 이용상 독립성을 갖춰야 성립하는데, 이 사건에서는 P상가 건물이 불법 증축되면서 등기부와 실제 현황이 불일치하게 되어 구분소유권의 객체와 범위가 불분명해지는 문제가 발생했습니다. 경매 절차에서의 소유권 취득: 부동산 경매에서 낙찰자는 낙찰대금을 완납하면 해당 부동산의 소유권을 취득합니다(민사집행법 제135조). 하지만 이 소유권은 등기부등본에 기재된 내용에 따라 특정되는 것이 일반적이며, 등기부 내용과 실제 현황이 크게 다를 경우 그 권리 범위에 대한 다툼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본 사건에서는 등기부상 '이 사건 건물'이 실제 피고들이 점유하는 '이 사건 각 점포' 전체를 포함한다는 명확한 증명이 부족하여 원고들의 소유권 주장이 배척되었습니다.
건물 매입 시, 특히 경매를 통해 매입할 때는 등기부등본상의 정보와 실제 건물 현황이 일치하는지 반드시 확인해야 합니다. 불법 증축이나 구조 변경이 있었는지 건축물대장, 현장 실사 등을 통해 꼼꼼히 살펴보세요. 오래된 상가 건물의 경우, 소유권 관계가 복잡하거나 불명확한 경우가 많습니다. '지주회'와 같은 비공식적 관리 주체가 있는 경우, 해당 주체의 권한 범위와 관련 계약 내용을 충분히 파악해야 합니다. 경매로 부동산을 취득할 경우, 해당 부동산의 점유 현황과 점유자들의 점유권원(임대차 계약 등)을 사전에 철저히 조사해야 합니다. 대항력 있는 임차인이 존재하는지 여부는 매우 중요합니다. 집합건물의 경우, 구분소유권의 대상이 되는 건물의 범위가 명확히 특정되어야 합니다. 특히 증축 등으로 인해 공부상 내용과 실제 현황이 다를 때는 권리 관계가 더욱 복잡해지므로 주의가 필요합니다. 소유권에 기한 인도 청구는 청구하는 사람이 해당 목적물의 소유권을 가지고 있음을 명확히 증명해야 합니다. 특히 점유 부분의 범위가 불분명할 경우, 청구 자체가 어려워질 수 있습니다.

서울중앙지방법원 2018
대법원 2020
춘천지방법원원주지원 2022
서울고등법원 20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