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타 민사사건
이 사건은 주식회사 A가 K시장 재개발 사업의 공동사업약정과 컨설팅계약이 피고들의 일방적인 해제 통보로 부당하게 종료되었다고 주장하며, 피고 D에게 5억여 원, 피고 주식회사 E에게 1억 원의 손해배상 및 용역대금 지급을 청구한 사건입니다.
재판부는 원고의 피고들에 대한 모든 청구를 기각하였고, 소송 비용은 원고가 부담하도록 판결했습니다. 이는 피고들의 계약 해제가 정당하다고 보았거나, 원고의 청구를 인정할 만한 증거가 부족하다고 판단했음을 시사합니다.
피고 D은 2018년 10월 K시장번영회의 주식을 양수하고, 원고 주식회사 A와 함께 K시장 정비사업을 공동으로 시행하기로 약정했습니다. 이후 원고는 피고 E과 컨설팅 계약을 체결하여 용역대금 3억 원을 받기로 했습니다.
그러나 피고들은 2020년 11월, 원고 측이 약정된 기한(8개월 내 인허가 신청 가능 약속) 내에 시장정비사업 인허가 신청 및 PF 자금 조달 업무를 완료하지 못했다는 이유로 공동사업약정 및 컨설팅 계약을 해제하겠다고 통보했습니다.
K시장번영회는 2020년 2월 창원시에 추진위원회 설립승인신청을 했으나, 2021년 4월까지 보완 요구를 받았음에도 보완이 이루어지지 않아 신청이 반려되었습니다.
이에 원고는 피고들의 계약 해제가 부당하다고 주장하며 피고 D에게 500,000,100원, 피고 주식회사 E에게 100,000,000원을 청구하는 소송을 제기했습니다.
원고는 피고들이 K시장 정비사업 관련 공동사업약정 및 컨설팅계약을 부당하게 해제했다고 주장하며 손해배상 및 용역대금 지급을 요구했으나, 법원은 원고의 청구를 모두 기각했습니다.
주요 쟁점은 피고들의 계약 해제 통보가 정당한지 여부와 원고가 계약상의 의무를 이행하지 않았는지 여부입니다.
원고의 피고들에 대한 청구를 모두 기각하며, 소송 비용은 원고가 부담하도록 판결했습니다.
법원은 원고 주식회사 A가 피고 D과 피고 주식회사 E에게 제기한 총 6억여 원의 청구를 모두 받아들이지 않았습니다.
이는 피고들이 주장한 계약 해제 사유(원고 측의 시장정비사업 인허가 신청 및 PF 자금 조달 업무 미완료 등)가 정당하다고 인정되었거나, 원고가 주장하는 손해배상 및 용역대금 지급의 근거가 충분히 입증되지 않았다고 판단했기 때문으로 보입니다.
이 사건은 계약의 해제와 관련된 민법상 일반 원칙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이 판결에서 법원은 피고들의 계약 해제 사유가 민법상 채무불이행으로 인한 해제 요건을 충족하거나, 원고가 주장하는 손해나 용역대금 청구의 정당성을 입증하지 못했다고 판단한 것으로 해석됩니다. 정확한 법리 적용은 판결문의 '이유' 부분에서 상세히 설명되나, 본 판결문에서는 해당 내용이 생략되어 있습니다.
수원지방법원 2022
수원지방법원안산지원 2024
부산지방법원서부지원 2023
부산고등법원 20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