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임대차
이 사건은 신탁된 부동산에 임대차 계약을 체결한 임차인이 임대인으로부터 보증금을 돌려받지 못하게 되자, 임대인뿐만 아니라 계약을 중개한 공인중개사와 해당 공인중개사의 공제사업자에게도 손해배상을 청구한 사건입니다. 법원은 임대인에게 임대차 보증금 전액을 반환할 의무가 있다고 판단했으며, 공인중개사가 신탁 부동산의 위험성을 제대로 설명하지 않은 과실을 인정하여 임차인이 입은 손해의 일부를 배상해야 한다고 판결했습니다.
피고 B은 부동산 소유권을 취득함과 동시에 G 주식회사와 부동산담보신탁계약을 체결하고, 해당 부동산에 신탁등기를 마쳤습니다. 이후 피고 B은 이 부동산을 원고 A에게 임대차 보증금 4,000만 원에 임대하는 계약을 체결했습니다. 이 과정에서 공인중개사인 피고 C이 중개했습니다. 임대차 계약이 종료되었으나 임대인인 피고 B이 임대차 보증금을 반환하지 않자, 원고 A는 피고 B에게 보증금 반환을 청구하고, 중개인 피고 C이 신탁 부동산이라는 점과 그에 따른 위험성을 충분히 설명하지 않았다며 피고 C과 공제사업자인 피고 D에게도 손해배상을 청구하게 된 상황입니다.
신탁된 부동산의 임대차 계약이 유효한지, 임대인의 임대차 보증금 반환 의무가 있는지, 공인중개사가 신탁 부동산의 법적 관계 및 위험성에 대해 충분히 설명할 의무가 있는지, 그리고 공인중개사의 설명 의무 위반 시 손해배상 책임의 범위는 어디까지인지가 주요 쟁점이었습니다.
법원은 다음과 같이 판결했습니다.
결과적으로 임대인은 임대차 보증금 전액에 대한 반환 책임과 지연손해금을 부담하게 되었으며, 공인중개사와 공제사업자는 중개 과정에서의 설명 의무 위반으로 임대차 보증금 손해액의 30%에 해당하는 금액을 공동으로 배상할 책임이 인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