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매매/소유권
이 사건은 고령의 망인(돌아가신 분)이 심각한 인지 능력 저하 상태에서 자녀 중 한 명인 피고에게 부동산을 증여했고, 다른 자녀인 원고가 이 증여 계약이 의사무능력 상태에서 이루어져 무효라고 주장하며 자신의 상속 지분에 해당하는 소유권이전등기를 청구한 사건입니다. 법원은 망인이 증여 계약 당시 법률 행위의 의미를 이해할 수 없는 의사무능력 상태였다고 판단하여, 해당 증여 계약 및 이에 따른 소유권이전등기가 무효이므로 피고는 원고에게 상속 지분만큼의 소유권이전등기 절차를 이행하라고 판결했습니다.
심각한 질병과 인지 능력 저하로 요양병원에 입원 중이던 고령의 망인이 자녀 중 한 명(피고)에게 두 필지의 토지를 증여하는 계약을 체결하고 소유권이 이전되었습니다. 다른 자녀(원고)는 망인이 계약 체결 당시 정신적으로 심각하게 쇠약하여 의사능력이 없었으므로 이 증여 계약은 무효이며, 자신의 상속 지분에 해당하는 토지를 돌려받아야 한다고 주장하며 소송을 제기하여 발생한 분쟁입니다. 피고는 망인에게 의사능력이 있었고, 해당 증여는 중간생략등기의 합의에 따른 것이라고 반박했습니다.
망인 G이 2022년 11월 15일 증여 계약을 체결할 당시, 계약의 법률적인 의미와 효과를 이해할 수 있는 '의사능력'을 가지고 있었는지 여부가 핵심 쟁점이었습니다. 또한, 피고가 주장한 '중간생략등기 합의'가 실제 존재했는지와, 의사무능력 상태에서 이루어진 법률행위의 효력이 이 사건 소유권이전등기에 미치는 영향도 주요 쟁점이었습니다.
법원은 원고의 청구를 인용하여, 피고는 원고에게 이 사건 부동산 목록 기재 각 부동산 중 각 2/15 지분에 관하여 '진정명의회복을 원인으로 한 소유권이전등기 절차'를 이행하라고 판결했습니다. 소송 비용은 피고가 부담하도록 했습니다. 이는 망인 G이 증여 계약 체결 당시 의사무능력 상태였으므로 증여 계약이 무효이고, 그에 따른 소유권이전등기 역시 원인무효라고 판단했기 때문입니다.
법원은 망인이 심각한 인지 능력 저하와 중증의 질병으로 인해 중요한 법률 행위인 부동산 증여 계약의 의미를 이해하고 합리적으로 판단할 수 있는 능력이 없었다고 보아, 피고에게 이루어진 증여 계약 및 소유권이전등기를 무효로 판결했습니다. 따라서 원고는 망인의 상속인으로서 자신의 상속 지분에 해당하는 부동산 소유권을 되찾을 수 있게 되었습니다. 이 판결은 인감증명서 발급 여부와 관계없이 법률 행위 당시의 실질적인 의사능력 유무가 법률 행위의 유효성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임을 다시 한번 확인시켜주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