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축/재개발
이 사건은 태양광 발전소 설치 공사를 담당한 원고 회사 A가 800KW 태양광발전소 사업자들인 피고 E 등 6인과 900KW 태양광발전소 관련 사업을 진행한 피고 주식회사 J를 상대로 미지급 공사대금 및 지연손해금을 청구한 사건입니다. 법원은 원고와 800KW 사업자들 간의 계약 범위는 '사용전검사'까지였고 원고가 이를 완료했다고 판단하여 800KW 사업자들에게 미지급 공사대금을 지급하라고 명령했습니다. 또한 피고 J 역시 900KW 태양광발전소 공사 관련 정산 합의에 따라 원고에게 미지급 공사대금을 지급해야 한다고 판결했습니다.
원고는 800KW 태양광발전소 사업자들과 태양광발전소 설치 공사 계약을 맺고 2020년 3월부터 5월까지 공사를 완료하기로 했습니다. 계약서상 공사 범위는 '사용전검사' 합격까지였습니다. 공사 진행 중 원고가 하도급을 준 업체들(M, N건설) 간의 분쟁으로 공사가 중단되기도 했으나, 원고는 공사 기간을 연장하여 2021년 3월 3일 800KW 태양광발전소에 대한 사용전검사를 받고 합격했습니다. 이후 800KW 및 900KW 사업자들이 함께 위치한 동일 부지에 대한 개발행위준공허가를 위해 원고, 피고 J, 800KW 사업자, 900KW 사업자들이 모여 2021년 7월 27일 '900KW 태양광 타절정산 협의약정서'를 작성했습니다. 원고는 800KW 발전소의 공사 범위는 사용전검사까지이며 이미 완료했으므로 미지급 공사대금을 받아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반면 800KW 사업자들은 공사 범위가 '개발행위준공허가'까지인데 원고가 이를 완료하지 않았고, 정산 합의를 통해 모든 의무를 이행했으므로 미지급 공사대금이 없다고 주장했습니다. 또한 원고는 피고 J에 대해서 900KW 사업 관련 정산 합의에 따른 미지급 공사대금이 있다고 주장했으나, 피고 J는 원고와 직접적인 계약관계가 없어 지급 의무가 없다고 맞섰습니다. 이처럼 각 계약의 구체적인 범위와 이후 정산 합의의 적용 범위에 대한 당사자들의 해석 차이로 인해 분쟁이 발생했습니다.
이 사건의 주요 쟁점은 다음과 같습니다. 첫째, 원고 주식회사 A와 800KW 태양광발전소 사업자들 간의 공사계약 범위가 한국전기안전공사로부터의 '사용전검사' 합격까지인지, 아니면 지방자치단체로부터의 '개발행위준공허가'까지인지를 판단하는 것이었습니다. 둘째, 여러 당사자들이 참여하여 작성된 '900KW 태양광 타절정산 협의약정서'가 800KW 태양광발전소 공사대금 정산에도 적용되는지, 아니면 900KW 태양광발전소 공사에만 한정되는지를 명확히 하는 것이었습니다. 셋째, 피고 주식회사 J가 원고와 직접적인 계약관계가 없다고 주장하는 상황에서, 정산 합의에 따라 원고에게 미지급 공사대금을 지급할 의무가 있는지를 판단하는 것이었습니다.
법원은 다음과 같이 판결했습니다.
법원은 원고의 청구를 모두 받아들여, 피고 E 등 800KW 태양광발전소 사업자들은 원고와의 공사계약에 따라 각 미지급된 공사대금과 지연손해금을, 피고 주식회사 J는 900KW 태양광발전소 공사 관련 정산 합의에 따라 미지급 공사대금과 지연손해금을 원고에게 지급하라고 최종 판결했습니다. 이는 계약서에 명시된 공사 범위와 정산 합의의 내용을 엄격하게 해석한 결과입니다.
이 사건 판결에는 다음과 같은 법령과 법리가 적용되었습니다.
유사한 태양광 발전소 설치나 복잡한 건설 사업 상황에서 발생할 수 있는 분쟁을 예방하고 해결하는 데 다음과 같은 사항들을 참고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