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손해배상
주식회사 A는 주식회사 B였던 원고가 피고 C 주식회사로부터 D회사의 주식과 경영권을 300억 원에 인수하는 계약을 체결했습니다. 계약 과정에서 피고가 D회사의 재무 상태와 자산 관련 정보를 정확하게 진술하고 보장해야 하는 조항이 있었으나, 계약 체결 후 D회사에 중소기업 정부과제 지원금 환수금, 일본 지사 공급 계약에 따른 환급금 등 예상치 못한 부채가 발생했습니다. 또한, D회사가 사용하는 토지의 소유권 제한 및 금융거래 제약 문제도 드러났습니다. 이에 원고는 피고가 계약상 진술 및 보장 조항을 위반하여 손해를 입혔다며 총 8억 5천여만 원의 손해배상을 청구했습니다. 법원은 피고가 정부과제 환수금 및 일본 지사 환급금 관련 정보를 제대로 알리지 않아 회계기준에 따른 부채 반영 의무를 위반했음을 인정하여 4억 7천여만 원의 손해배상 책임을 인용했습니다. 반면, 토지 소유권 제한은 피고가 관련 판결문을 통해 통지했다고 보아 손해배상 책임을 부인했고, 금융거래 제약에 따른 손해는 입증이 부족하다며 기각했습니다.
이 사건은 주식과 경영권 인수 계약 과정에서 발생한 분쟁입니다. 회사를 인수하려는 원고는 대상 회사의 재무 상태와 자산 가치를 정확히 파악하는 것이 중요한데, 매도인인 피고가 계약상 '진술 및 보장 조항'을 통해 일정 시점 기준의 재무 상태나 법적 문제 등이 없다고 보장했습니다. 그러나 계약 체결 후 원고는 대상 회사에 숨겨진 부채나 자산 관련 문제가 있음을 발견했고, 이는 계약 당시 피고의 진술 및 보장이 사실과 달랐다고 주장하며 손해배상을 청구하게 된 상황입니다. 인수 계약에서 대상 회사의 가치 평가에 중대한 영향을 미치는 요소들이 제대로 공개되지 않아 발생한 갈등 사례입니다.
피고가 주식매매계약상 D회사의 재무 상태 및 자산에 대한 '진술 및 보장 조항'을 위반하여 원고에게 손해를 배상해야 하는지 여부가 핵심 쟁점입니다. 구체적으로는 미공개된 정부 지원금 환수 예정액, 판매량에 따른 환급금 부채, 토지의 소유권 제한, 그리고 금융거래 제약 사항들이 진술 및 보장 조항 위반에 해당하는지와 그로 인한 손해액의 인정 여부가 다투어졌습니다.
법원은 피고에게 476,468,397원 및 이에 대해 2016년 10월 1일부터 2019년 6월 21일까지는 연 5%, 그 다음날부터 다 갚는 날까지는 연 15%의 이자를 지급하라고 판결했습니다.
이 판결은 주식 매매 계약 시 매도인이 대상 회사의 재무 상태와 자산에 대해 정확히 진술하고 보장해야 할 의무가 중요함을 재확인했습니다. 특히, 계약 체결 시점에서 확정적이거나 합리적으로 예측 가능한 부채를 재무제표에 반영하지 않거나 명확하게 고지하지 않을 경우, 매도인이 그로 인한 손해를 배상할 책임이 있음을 명확히 했습니다. 그러나 모든 미고지 사항이 곧바로 손해배상으로 이어지는 것이 아니라, 매도인이 계약상 명시된 예외 조항에 따라 충분히 통지했다고 볼 수 있는 경우에는 책임을 면할 수 있음을 보여주었습니다.
이 사건은 주로 주식매매계약상 '진술 및 보장 조항'의 해석과 위반 여부, 그리고 그로 인한 손해배상 책임에 관한 법리를 다루고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