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기 · 기타 형사사건
피고인 A, B, C, D는 2020년 8월부터 2021년 11월까지 'S 주식회사'를 통해 모바일 상품권 판매 사업을 한다고 속여 불특정 다수의 투자자들로부터 약 300억 원 이상의 투자금을 편취하고 유사수신행위를 한 혐의로 기소되었습니다. 피고인들은 존재하지 않는 사업 실체를 내세워 매주 5%의 고수익을 보장하며 원금 상환을 약속했지만, 실제로는 신규 투자자의 돈으로 기존 투자자에게 수익을 지급하는 '돌려막기' 방식의 폰지사기였습니다. 자금이 고갈되자 가치 없는 비상장 주식까지 판매하여 대금을 편취했습니다. 항소심 법원은 피고인들의 역할과 가담 정도를 면밀히 판단하여 원심의 형량을 다소 무겁다고 보아 감경하면서도, 범죄수익으로 얻은 추징금액을 조정하여 선고했습니다. 또한 특정 피해자들에 대한 사기 및 유사수신 혐의에 대해서는 증명이 부족하다고 보아 무죄를 유지했습니다.
피고인 A은 S 주식회사를 설립하고 피고인 B을 명목상 대표로 내세운 뒤, 피고인 C과 함께 회사를 실질적으로 운영했습니다. 이들은 모바일 상품권 판매 사업을 한다고 홍보하며, 중국에 1000억 원 이상 납품, 농협 및 다른 금융기관과의 계약 체결 등을 거짓으로 내세워 불특정 다수의 투자자들을 속였습니다. 투자자들에게는 매주 투자금의 5%에 해당하는 고수익과 3개월 또는 6개월 후 원금 상환을 약속했습니다. 그러나 S 주식회사는 실제 사업 실체가 없었고, 수익금은 오직 신규 투자자들의 돈으로 지급되는 '돌려막기' 방식이었습니다. 자금 조달이 어려워지자 피고인들은 아무런 가치가 없는 S 주식까지 판매하여 투자자들로부터 대금을 편취했습니다. 이로 인해 다수의 투자자들이 총 300억 원 이상의 피해를 입었습니다.
이 사건의 주요 쟁점은 다음과 같습니다. 첫째, 피고인 A과 C이 S 주식회사의 실질적인 운영자로서 사기 및 유사수신 범행을 계획하고 주도했는지 여부입니다. 둘째, 명목상 대표였던 피고인 B과 단순 실무를 담당했던 피고인 D의 범행 가담 정도와 책임 범위입니다. 셋째, 피고인들이 범죄를 통해 얻은 이익에 대한 추징금 산정의 적정성입니다. 넷째, 특정 피해자들에 대한 사기 및 유사수신 혐의에 대해 원심이 무죄로 판단한 것이 타당한지 여부입니다. 마지막으로, 원심에서 선고된 피고인들의 형량이 적정한지 여부입니다.
항소심 법원은 원심판결 중 유죄 부분을 파기하고, 피고인 A에게 징역 10년 및 3억 1786만 7806원 추징을, 피고인 B에게 징역 3년 및 1억 7720만 원 추징을, 피고인 C에게 징역 7년 및 10억 9817만 9632원 추징을, 피고인 D에게 징역 2년 6개월에 집행유예 3년 및 2294만 5250원 추징을 선고했습니다. 또한, 검사의 원심 주문무죄 부분에 대한 항소는 모두 기각되었습니다. 각 피고인에게는 추징금에 상당하는 금액의 가납을 명령했습니다.
법원은 피고인 A과 C이 S 주식회사의 실질적인 운영자로서 사기와 유사수신행위 범행을 주도했으며, 피고인 B과 D 역시 각자의 역할에 따라 범행에 가담한 공동정범임을 인정했습니다. 다만, 피고인들의 건강 상태, 범행 가담 정도, 피해 회복 노력 부족 등의 여러 양형 조건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원심의 형량이 다소 무겁다고 판단, 각 피고인에게 감경된 형을 선고했습니다. 특히 추징금 산정에 있어서는 부패재산몰수법의 법리를 적용하여 피고인 C과 D의 실제 취득 이익을 면밀히 재산정하여 원심보다 감액된 추징금을 명령했습니다. 한편, 특정 피해자들에 대한 사기 및 유사수신 혐의는 피고인들의 기망 또는 약속에 따른 투자금 지급 사실이 합리적 의심 없이 증명되지 않았다는 원심의 판단을 유지하여 검사의 항소를 기각했습니다.
이 사건에는 다음과 같은 법령과 법리가 적용되었습니다.
유사한 투자 사기 상황에 처하지 않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점들을 유의해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