채권/채무 · 행정
빚을 지고 있던 아버지가 아들에게 부동산을 증여한 행위가 채권자를 해하는 사해행위에 해당하는지 여부가 쟁점이 된 사건입니다. 법원은 아버지가 부동산을 아들에게 명의신탁한 것이라는 주장을 받아들이지 않고, 증여 계약을 일부 취소하며 아버지가 채권자에게 채무액을 지급하도록 판결했습니다.
채무자인 B는 2013년에 부동산을 매입한 후 2021년 1월 18일 아들 C에게 이 부동산을 증여했습니다. B의 채권자인 A는 이 증여가 자신의 채권을 변제받지 못하게 하려는 '사해행위'이므로 취소해달라고 소송을 제기했습니다. 반면 B는 이 부동산을 매입할 당시 채무가 많아 자신의 명의로 등기할 수 없었으므로 아들 C에게 명의신탁한 것이었으며, 따라서 아들에게 소유권을 이전한 것은 명의신탁 약정에 따른 반환 의무를 이행한 것이므로 사해행위가 아니라고 주장했습니다.
아버지가 아들에게 부동산 소유권을 이전한 행위가 채무 회피를 위한 '사해행위'에 해당하는지, 아니면 '명의신탁' 약정에 따른 소유권 반환으로서 적법한 행위인지를 판단하는 것이었습니다.
법원은 피고 B와 C 사이에 체결된 증여 계약을 40,788,560원의 한도 내에서 취소했습니다. 또한 피고 B는 원고 A에게 40,758,560원과 그 중 19,888,140원에 대하여 판결 확정일 다음 날부터 다 갚는 날까지 연 5%의 이율로 계산한 지연손해금을 지급하라고 판결했습니다. 원고의 나머지 청구는 기각되었습니다.
재판부는 피고 B가 사건 부동산을 아들 C에게 명의신탁하였다는 주장을 인정하기에 증거가 부족하다고 판단하여, B와 C 사이의 증여 계약이 채권자 A에 대한 사해행위에 해당한다고 보아 일부 취소하고 B에게 채무액을 지급하도록 판결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