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해배상
이 사건은 원고와 피고가 제기한 상고가 모두 대법원에서 기각된 사건입니다. 원고는 법정 기간 내에 상고이유서를 제출하지 않았으며 상고장에도 상고이유를 기재하지 않았습니다. 피고의 상고는 소액사건심판법에서 정한 상고 허용 사유에 해당하지 않아 모두 기각되었습니다.
원고와 피고는 대전지방법원의 본소 및 반소 판결에 불복하여 각각 대법원에 상고를 제기했습니다. 이 상고심에서 원고는 상고이유서를 제출하지 않았고 피고는 소액사건에 대한 상고 사유를 벗어난 주장을 했습니다.
상고이유서 미제출 또는 상고이유 기재가 없는 상고의 효력과 소액사건심판법상 소액사건에 대한 상고 허용 범위입니다.
대법원은 원고와 피고의 상고를 모두 기각하고, 상고비용은 각자가 부담하도록 판결했습니다.
원고는 상고이유서를 법정 기간 내에 제출하지 않고 상고장에도 상고이유를 기재하지 않아 상고가 기각되었습니다. 피고는 소액사건에 해당하는 사건에서 소액사건심판법이 정하는 특정 사유에 해당하지 않는 이유로 상고를 제기하여 상고가 기각되었습니다. 결과적으로 본소와 반소 모두 원심 판결이 확정되었습니다.
대법원에 상고를 제기할 경우 반드시 법정 기간 내에 상고이유서를 제출해야 합니다. 이를 지키지 않으면 상고가 기각될 수 있습니다. 소액사건은 현재 소송 목적의 값이 3천만원을 초과하지 않는 금전 등 청구 사건을 의미하며 신속한 재판을 위해 특별한 절차를 따릅니다. 특히 소액사건의 경우 대법원에 상고를 제기할 수 있는 사유가 매우 제한적입니다. 소액사건심판법 제3조에 따라 법률, 명령, 규칙 또는 처분의 헌법 또는 법률 위반 여부에 대한 판단이 부당하다는 주장 등 엄격한 사유에만 상고가 허용됩니다. 단순히 사실관계를 다투거나 증거 판단이 잘못되었다는 이유만으로는 소액사건에 대한 상고가 받아들여지지 않으므로, 상고를 고려한다면 소액사건심판법의 상고 허용 사유에 해당하는지 면밀히 검토해야 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