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타 형사사건
장애인돌봄시설의 생활재활교사였던 피고인이 시설 이용 중인 중증 지적장애인에게 식사 지도 과정에서 세 차례에 걸쳐 신체적 폭행을 가한 혐의로 기소되었습니다. 재판부는 피고인의 행위가 장애인복지법에서 금지하는 폭행에 해당한다고 판단하여 벌금 8,000,000원을 선고했습니다. 다만, 취업제한 명령은 여러 사정을 고려하여 면제되었습니다.
이 사건은 장애인돌봄시설 'F'의 식당에서 생활재활교사인 피고인이 중증 지적장애인 피해자에게 식사 지도를 하던 중 발생했습니다.
장애인 돌봄 과정에서 생활재활교사의 행위가 장애인복지법상 금지되는 장애인 신체에 대한 폭행에 해당하는지 여부 및 그에 따른 처벌 범위가 쟁점이 되었습니다.
법원은 피고인의 행위가 장애인복지법에서 정하는 장애인 폭행에 해당한다고 인정하여 피고인에게 벌금 8,000,000원을 선고했습니다. 만약 피고인이 벌금을 납입하지 않을 경우 100,000원을 1일로 환산한 기간 동안 노역장에 유치될 것이며 벌금에 상당하는 금액의 가납도 명령되었습니다. 다만, 피고인에게는 취업제한 명령을 면제하는 특별한 사정이 있다고 판단되었습니다.
재판부는 장애인 돌봄 시설에서 발생한 폭행 사건에 대해 피고인의 유죄를 인정하고 벌금형을 선고함으로써 장애인 인권 보호의 중요성을 강조했습니다. 동시에 피고인의 여러 사정을 고려하여 취업제한 명령은 면제하는 결정을 내렸습니다.
이 사건에는 주로 장애인복지법과 형법, 형사소송법이 적용되었습니다.
장애인 돌봄 시설에서는 장애인의 신체적, 정신적 안전을 최우선으로 확보해야 합니다. 돌봄 인력에 대한 정기적인 교육과 윤리 의식 함양이 중요합니다. 장애인 약물 복용이나 식사 거부와 같은 어려운 상황에서도 강제적인 신체적 제압이나 폭력적 수단은 법적으로 허용되지 않으며 이는 장애인 학대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장애인의 의사를 존중하고 비폭력적인 방법으로 문제를 해결하려는 노력이 필요합니다. 겉으로 보기에 경미해 보이는 행위라도 장애인의 신체에 불법적인 유형력을 가한 경우 폭행으로 인정될 수 있습니다. 특히 의사 표현이나 저항이 어려운 장애인에게 가해진 행위는 더욱 엄격한 기준으로 판단될 수 있습니다. 유사 사건 발생 시에는 CCTV 영상, 목격자 진술, 학대조사보고서 등 객관적인 증거를 확보하는 것이 사건 해결에 매우 중요합니다.

대전지방법원 2018
서울고등법원 2019
서울중앙지방법원 2020
창원지방법원진주지원 20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