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내년 6월 부산에서 지방선거와 국회의원 보궐선거가 동시에 치러질 예정인 가운데, 전재수 해양수산부 장관의 부산시장 출마 여부가 북구 선거 지형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전 장관이 부산시장 선거에 나설 경우 그의 지역구인 북구갑 국회의원 자리가 보궐선거로 전환되고, 동시에 북구청장 선거도 진행되어 두 선거가 긴밀하게 연결되는 상황이 벌어집니다. 이는 각 당의 후보 전략과 선거 준비에 중대한 변수로 작용합니다.
국민의힘은 지난 총선에서 부산 대부분을 석권하는 쾌거를 이루었으나 북구갑 국회의원 선거에서는 전재수 의원에게 패배하며 한 자리를 내준 바 있습니다. 따라서 북구 지역은 국민의힘에게 반드시 탈환해야 할 숙원이자 명예 회복의 핵심 무대로 인식되고 있습니다. 보궐선거가 열릴 경우 중앙당 차원의 전폭적인 지원이 이뤄질 것이 확실시되며, 서병수 위원장의 재등판 가능성이 유력하게 점쳐지고 있습니다.
남은 북구청장 선거 후보군 중 현직 오태원 구청장은 사법 리스크가 있는 점과 손상용 전 부산시의회 부의장도 후보군에 포함되지만 국민의힘 내부에서는 서병장 위원장과 최상의 시너지를 낼 전략적 인물을 선정하는 과정이 진행될 것으로 보입니다. 이처럼 국민의힘은 국회의원 보궐선거와 구청장 선거의 동반 승리를 목표로 선거판을 짜고 있습니다.
더불어민주당은 전 장관의 시장 출마가 현실화되면 현역 국회의원을 잃는 부담 속에 국회의원 보궐선거와 북구청장 선거에서 모두 선방해야 하는 상황에 직면합니다. 이 때문에 구청장 후보로 거론되는 정명희 전 북구청장을 비롯하여 노기섭 전 부산시의원, 문영남 전 북구의원 등 지역구 인사들이 후보군으로 부상하고 있습니다.
민주당 내부에서는 전 장관의 의중 및 선거구 변화에 따라 후보 간 교통정리와 전략적 역할 분담이 필수적입니다. 신진 정치인들 일부는 이번 보궐선거 쪽에 관심을 돌릴 가능성도 있으며, 당 차원에서 현역 국회의원 유지와 구청장직 탈환을 위한 최적의 대진표 구성이 중요한 과제가 되고 있습니다.
전 장관의 부산시장 출마 결정은 국회의원 보궐선거와 북구청장 선거를 동시다발적으로 영향을 미쳐 선거판이 더욱 복잡해지고 역동적으로 변할 전망입니다. 양당 모두에게 북구 지역은 전략적 요충지로서 사활을 건 경쟁의 장이 될 것입니다. 국회의원과 구청장 선거가 맞물리면서 후보 선정과 선거운동 방식도 세심하게 재조정될 필요성이 커지고 있습니다.
법률적 측면에서는 보궐선거와 지방선거의 동일 지역 동시 시행에 따른 선거관리와 후보 등록, 공천 절차에서의 절차적 엄정성이 더욱 요구되고 후보들의 선거법 준수 여부가 결과에 중대한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유념해야 합니다. 이처럼 정치적 변수는 법률 절차와 규정을 세밀하게 준수하는 가운데 관리되어야 할 중요한 사안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