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타 형사사건 · 금융
피고인 A는 등록된 대부업자였으나, 등록되지 않은 대부업자인 H 주식회사에게 대부계약에 따른 채권에 대해 근질권을 설정해 주었다는 혐의(대부업등의등록및금융이용자보호에관한법률 위반)로 기소되었습니다. 검사는 근질권 설정 행위가 채권 양도 행위에 해당한다고 주장하며 법률 위반을 주장했으나, 1심 법원은 무죄를 선고했고 항소심 또한 이를 유지했습니다.
등록된 대부업자인 피고인 A가 등록되지 않은 대부업자인 H 주식회사에게 대부계약에 따른 채권에 대하여 근질권을 설정해 주면서 문제가 시작되었습니다. 검사는 이러한 근질권 설정이 실질적으로는 채권을 양도한 것과 같다고 판단하여 '대부업등의등록및금융이용자보호에관한법률'을 위반했다고 보고 피고인 A를 기소했습니다. 하지만 피고인 측은 근질권 설정이 채권 양도와는 다른 행위이며 법률에 명확히 금지된 행위가 아니므로 처벌할 수 없다고 주장했습니다.
등록된 대부업자가 등록되지 않은 대부업자에게 채권에 대한 근질권을 설정해준 행위가 '대부업등의등록및금융이용자보호에관한법률'에서 금지하는 채권 양도에 해당하는지 여부 및 죄형법정주의 원칙에 따른 형벌 법규의 엄격 해석 원칙 적용
항소심 법원은 원심의 판단이 정당하다고 보아 검사의 항소를 기각하고 피고인 A에게 무죄를 선고했습니다. 법원은 형벌 법규는 엄격하게 해석해야 하며, 문언의 가능한 의미를 벗어나 피고인에게 불리하게 확장 해석할 수 없다는 죄형법정주의 원칙을 강조했습니다.
결론적으로 피고인 A는 등록되지 않은 업체에 채권의 근질권을 설정해 준 행위에 대해 대부업법 위반 혐의에 대하여 무죄를 확정받았습니다. 이는 법원이 형벌 법규를 문언 그대로 엄격하게 해석해야 한다는 원칙을 따른 결과입니다.
이 사건의 핵심 법리는 '죄형법정주의'입니다. 죄형법정주의는 국가가 형벌권을 행사할 때 반드시 법률에 근거해야 하며, 범죄와 그에 대한 형벌은 법률로 명확하게 규정되어야 한다는 원칙입니다. 이는 피고인의 자유와 권리를 보호하기 위한 중요한 원칙으로, 특히 '확장해석금지 원칙'을 포함합니다. 즉, 형벌 법규를 해석할 때 법률의 문언이 가지는 가능한 의미를 벗어나 피고인에게 불리하게 확대 해석하는 것은 허용되지 않습니다. 이 사건에서 법원은 '대부업등의등록및금융이용자보호에관한법률'이 금지하는 '채권 양도'에 '근질권 설정'이 명확히 포함되지 않는다고 보아, 문언의 의미를 넘어 확장 해석하는 것을 거부하고 무죄를 선고했습니다. 이는 형사소송법 제364조 제4항에 따라 항소법원이 항소가 이유 없다고 판단할 때 항소를 기각하는 법적 근거가 됩니다.
비슷한 상황에 처한다면 법률 문언의 정확한 의미를 파악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특히 형벌이 따르는 법규의 경우 그 해석은 엄격하게 적용됩니다. 어떤 행위가 특정 법률에 위반되는지 불분명할 때는 법률 전문가의 조언을 구하기 전에 해당 법률의 문언적 의미와 관련 판례를 면밀히 살펴보는 것이 좋습니다. 등록되지 않은 금융업체와의 거래는 예상치 못한 법적 문제에 휘말릴 수 있으므로 상대방의 등록 여부를 반드시 확인해야 합니다. 이 판결은 '근질권 설정'이 '채권 양도'와는 법적으로 다른 행위로 해석되어 무죄가 선고된 사례입니다.
인천지방법원 2023
인천지방법원 2022
대구고등법원 2004
울산지방법원 20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