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타 민사사건
가짜 가상화폐 'D' 관련 투자 사기로 유죄 판결을 받은 주식회사 C의 대표이사 A가 체포될 당시 압수된 수표와 현금에 대해, A와 사기 피해자들(독립당사자참가인 B 및 선정자들)이 서로 소유권을 주장하며 인도를 청구한 사건입니다. 법원은 압수된 수표와 현금이 사기 피해자들이 투자한 돈으로 조성된 C 회사의 소유임을 인정했습니다. 이에 따라 피해자들이 C 회사에 대한 채권을 가지고 압류 및 추심 명령을 받았으므로, 피고 대한민국은 압수된 수표를 피해자들을 대리하는 집행관에게 인도하라고 판결했습니다. 원고 A의 압수물 인도 또는 환가대금 지급 청구는 모두 기각되었습니다. 다만, 독립당사자참가인의 수표 소유권 확인 청구는 확인의 이익이 없어 각하되었습니다.
주식회사 C의 대표이사였던 원고 A는 2017년 5월부터 8월까지 약 5,000명의 피해자로부터 가짜 가상화폐 'D'에 투자하면 고수익을 보장한다고 속여 총 21,276,305,785원에 달하는 투자금을 편취한 혐의로 유죄 판결(징역 4년)을 받았습니다. 원고 A가 체포될 당시, C 회사의 사무실에서 약 960,100,000원 상당의 수표와 현금이 압수되었으나, 형사 재판 과정에서 이 압수물에 대한 몰수 판결은 선고되지 않았습니다. 이에 원고 A는 압수된 수표와 현금이 자신의 것이므로 피고 대한민국에게 반환해달라고 소송을 제기했습니다. 한편, 사기 피해자들(참가인 B 및 선정자들)은 주식회사 C에 대한 채권 지급명령을 확정받은 후, C 회사가 대한민국에 대해 가지고 있는 압수물 인도 청구권에 대해 채권압류 및 추심명령을 받았습니다. 피해자들은 이 명령에 근거하여 피고 대한민국에게 압수된 수표를 자신들에게 인도하라고 주장하며, 원고 A와 소유권을 다투는 독립당사자참가 소송을 제기하게 되었습니다.
이 사건의 주요 쟁점은 다음과 같습니다. 첫째, 원고 A가 체포될 당시 압수된 수표와 현금의 진정한 소유권이 누구에게 있는지 (원고 A 또는 주식회사 C). 둘째, 형사 사건에서 몰수 판결이 없었을 때 압수물의 반환이 누구에게 이루어져야 하는지. 셋째, 사기 피해자들이 채권압류 및 추심명령을 통해 압수물에 대한 인도 청구를 할 수 있는지. 넷째, 독립당사자참가인의 수표 소유권 확인 청구가 민사소송법상 '확인의 이익'이 있어 적법한지 여부입니다.
법원의 최종 결정은 다음과 같습니다.
이 판결을 통해 법원은 가짜 가상화폐 투자 사기 사건에서 범인으로부터 압수된 재산의 진정한 소유권이 범인이 아닌, 피해자들이 투자금을 교부했던 회사에 있다고 판단했습니다. 형사 절차에서 몰수되지 않은 압수물이라도 그 소유권이 범인에게 있다고 단정할 수 없으며, 민사 절차를 통해 진정한 소유자가 누구인지 밝혀지고 그에 따라 반환이 이루어져야 함을 분명히 했습니다. 결과적으로 사기 피해자들이 적법한 민사 절차(채권압류 및 추심명령)를 통해 자신들의 피해금을 회수할 수 있는 길이 열렸습니다. 원고 A의 주장은 받아들여지지 않았습니다.
이 사건에 적용된 주요 법령과 법리적 판단은 다음과 같습니다.
유사한 문제 상황에 처했을 때 참고할 만한 사항들입니다.
대전고등법원 2007
전주지방법원 2020
부산지방법원동부지원 2022
대구지방법원 20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