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해배상
임차인 A는 임대인 C로부터 상가를 임차하여 공간대여업을 운영하던 중, 임차 건물에 지속적인 누수가 발생하여 영업에 큰 지장을 받고 시설물이 훼손되는 피해를 입었습니다. A는 C에게 여러 차례 누수 문제를 통지하고 해지를 통고한 후 건물을 반환하며 누수로 인한 손해배상과 임차보증금 반환을 청구했습니다. 법원은 임대인 C가 민법 제623조에 따른 임대인의 의무를 다하지 못해 누수가 발생했다고 판단하여, C에게 영업 손실, 시설 투자 비용(감가상각 적용), 수리비, 인터넷 해지 및 정수기 위약금 등 총 16,897,764원의 손해배상액과 임차보증금 10,000,000원을 합하여 26,897,764원을 지급하라고 판결했습니다. 다만 정신적 손해에 대한 위자료 청구와 임대인의 상계 주장은 받아들여지지 않았습니다.
원고 A는 2022년 5월부터 피고 C로부터 상가를 임차하여 공간대여업(연습실, 녹음실 대여)을 운영하고 있었습니다. 그런데 2022년 6월경부터 임차 건물에 지속적인 누수가 발생하기 시작했고, 원고는 피고에게 여러 차례 누수 문제를 통지했습니다. 특히 2024년 6월과 7월경에는 누수가 심해져 내부 집기가 훼손되고 방수작업까지 실시하는 상황에 이르렀습니다. 이 누수는 건물의 배수구 문제나 빗물이 외벽을 타고 지하에 있는 임차 목적물로 스며들어 발생한 것으로 보였으며, 피고가 건물 주변의 1층 바닥 공사를 실시한 이후부터 누수가 더욱 심해진 것으로 추정되었습니다. 이에 원고는 영업을 지속하기 어렵다고 판단하여 2024년 7월 31일 계약 해지를 통고하고, 2024년 10월 28일경 임차 목적물을 피고에게 반환했습니다. 이후 원고는 누수로 인한 영업 손실, 시설 투자 비용, 수리비, 인터넷 및 정수기 위약금, 정신적 손해에 대한 배상과 임차보증금 반환을 요구하며 소송을 제기했습니다.
이 사건의 주요 쟁점은 임대인이 임차 목적물에 발생한 누수에 대해 손해배상 책임이 있는지 여부, 있다면 그 손해배상의 범위(영업 손실, 시설 투자 비용, 수리비 등)는 어디까지인지, 그리고 임차인의 정신적 손해에 대한 위자료 청구가 인정될 수 있는지 여부였습니다. 또한, 임대차 계약 해지의 적법성과 그에 따른 임차보증금 반환 의무, 피고의 건물 손상에 대한 상계 주장이 받아들여질 수 있는지도 중요한 쟁점이었습니다.
법원은 피고 C가 원고 A에게 총 26,897,764원(손해배상금 16,897,764원 + 임차보증금 10,000,000원)을 지급하라고 판결했습니다. 손해배상금 16,897,764원에 대해서는 2024년 9월 10일부터 2025년 8월 22일까지 연 5%, 그 다음날부터 다 갚는 날까지 연 12%의 비율로 계산한 지연손해금을, 임차보증금 10,000,000원에 대해서는 2024년 11월 1일부터 2024년 9월 9일까지 연 5%, 그 다음날부터 다 갚는 날까지 연 12%의 비율로 계산한 지연손해금을 각각 지급해야 합니다. 원고의 나머지 청구(특히 위자료 청구)는 기각되었으며, 소송비용은 원고가 55%, 피고가 45%를 부담하도록 결정되었습니다.
법원은 임대인 C가 임대 목적물을 임차인이 사용하고 수익하는 데 필요한 상태로 유지할 의무(민법 제623조)를 위반하여 발생한 누수로 인해 임차인 A가 입은 재산상 손해를 배상할 책임이 있다고 판단했습니다. 이에 따라 A의 영업 손실 713,433원, 인터넷 해지 및 정수기 위약금 505,331원, 시설 투자 비용 15,079,000원, 수리비 600,000원을 포함한 총 16,897,764원의 손해배상금을 인정했습니다. 아울러 상가건물 임대차보호법에 따라 계약이 종료되었으므로 임차보증금 10,000,000원도 반환하라고 판결했습니다. 그러나 정신적 손해에 대한 위자료 청구와 피고의 상계 주장은 받아들여지지 않았습니다. 최종적으로 피고는 원고에게 총 26,897,764원 및 이에 대한 지연손해금을 지급해야 한다는 판결이 내려졌습니다.
이 사건 판결은 주로 다음과 같은 법령과 법리를 근거로 하고 있습니다.
민법 제623조 (임대인의 의무):
상가건물 임대차보호법 제10조 제5항 (계약 해지 통고):
손해배상의 범위 (민법 제393조 및 대법원 판례):
상계 주장의 불인정: 피고가 원고의 건물 손상으로 인한 상계 주장을 했으나, 제출된 증거만으로는 피고의 주장 사실을 인정하기에 부족하다고 판단하여 받아들이지 않았습니다. 이는 상계 주장 또한 명확한 증거로 입증되어야 한다는 법리를 보여줍니다.
유사한 누수나 건물 하자로 인해 임대인과 분쟁이 발생했을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