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타 형사사건 · 노동
피고인은 체력단련시설을 운영하는 회사의 대표이사로서 골프 강사 D에게 근로계약서를 서면으로 교부하지 않았습니다. 또한 D가 퇴직한 후 14일 이내에 미사용 연차휴가수당 902,433원과 퇴직금 5,884,987원을 지급하지 않았습니다. 피고인은 D가 프리랜서라고 주장했으나, 법원은 D가 4대 보험에 가입되어 있었고 근무 시간과 기본급이 정해져 있었으며 회사 비품을 사용했고 회사가 모집한 회원에게만 강습을 진행했으며 상급자의 지휘·감독을 받는 등 여러 정황을 종합하여 근로기준법상 근로자에 해당한다고 판단했습니다. 이에 피고인에게 근로기준법 위반 및 근로자퇴직급여보장법 위반 혐의로 벌금 100만 원을 선고했습니다.
피고인 A는 ㈜C의 대표이사로 2019년 11월 5일부터 2021년 9월 28일까지 근무하다 퇴직한 골프 강사 D에 대해 임금의 구성항목, 계산방법, 지급방법, 소정근로시간, 휴일, 연차유급휴가 등이 명시된 서면 근로계약서를 작성 및 교부하지 않았습니다. 또한 D가 퇴직한 지 14일 이내에 2020년 연차휴가 미사용수당 902,433원과 퇴직금 5,884,987원을 지급하지 않았습니다. D는 이에 대해 고소를 제기했고 피고인은 D가 프리랜서이므로 근로자가 아니라고 주장하며 이 분쟁이 발생했습니다.
이 사건의 주요 쟁점은 골프 강사 D가 프리랜서인지 아니면 근로기준법상 근로자에 해당하는지 여부였습니다. D가 근로자라면 피고인에게 근로계약서 미교부, 미사용 연차휴가수당 및 퇴직금 미지급에 대한 책임이 있는지 여부가 법적 쟁점이 되었습니다.
법원은 피고인에게 벌금 100만 원을 선고했습니다. 만약 피고인이 벌금을 납입하지 않을 경우, 10만 원을 1일로 환산한 기간 동안 노역장에 유치하고 위 벌금에 상당하는 금액의 가납을 명했습니다.
재판부는 피고인 및 변호인의 주장을 받아들이지 않고 골프 강사 D가 근로기준법상의 근로자임을 인정했습니다. 이에 따라 근로계약서 미교부, 퇴직 시 금품 청산 의무 위반(미사용 연차휴가수당 및 퇴직금 미지급) 혐의를 유죄로 판단하고 피고인에게 벌금형을 선고함으로써 사업주의 근로기준법 및 근로자퇴직급여보장법 준수 의무를 강조했습니다.
이 사건에 적용된 주요 법령과 법리는 다음과 같습니다:
유사한 문제 상황에 처했을 때 다음 사항들을 참고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