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밀침해/특허
의료인이 아닌 피고인 A이 의사인 피고인 B 및 ER 명의로 병원을 개설하고 운영하면서 국민건강보험공단으로부터 요양급여비 2억 3천만 원 이상을 편취하고, 의약품 및 의료기기를 불법 판매하였으며, 마약류를 제공하고 비의료인에게 쁘띠 성형 교육을 진행하여 불법 의료행위를 방조했습니다. 또한 무등록 대부업을 영위하고 공무상 표시를 훼손한 혐의로 기소되었습니다. 피고인 A은 동종 범죄로 집행유예 기간 중이었음에도 불구하고 여러 불법 행위를 저질렀습니다. 피고인 B은 자신의 명의를 빌려주고 피고인 A의 불법적인 병원 운영에 가담하거나 묵인하여 공범으로 기소되었습니다.
이 사건 분쟁은 의료인이 아닌 피고인 A이 경제적 어려움을 겪는 의사들에게 접근하여 병원 운영권을 넘겨받고, 그 명의를 이용해 불법적인 방식으로 이익을 추구하면서 시작되었습니다.
이 사건의 주요 쟁점은 다음과 같습니다. 첫째, 의료인이 아닌 피고인 A이 의사인 피고인 B 및 ER의 명의를 빌려 병원(G의원, FF의원)을 주도적으로 개설·운영한 사무장 병원에 해당하는지 여부입니다. 둘째, 사무장 병원 운영을 통해 국민건강보험공단으로부터 총 4억 원이 넘는 요양급여비를 편취한 사기죄가 성립하는지 여부입니다. 셋째, 피고인 A이 병원 내에서 의약품 및 의료기기를 불법 판매하고, 마약류를 제공하며, 비의료인에게 쁘띠 성형 교육을 시켜 불법 의료행위를 방조하는 등 다양한 의료 관련 법규(의료법, 약사법, 의료기기법, 마약류 관리에 관한 법률, 보건범죄단속에관한특별조치법)를 위반했는지 여부입니다. 넷째, 피고인 A이 등록 없이 성매매·유흥업소 종사 여성들에게 돈을 빌려주고 성형수술을 알선한 무등록 대부업을 영위했는지 여부입니다. 다섯째, 의료장비 가처분 집행 고시문을 훼손하여 공무상표시무효죄가 성립하는지 여부입니다. 여섯째, 피고인 B이 의사로서 피고인 A의 사무장 병원 운영 및 불법 행위에 공모하거나 방조한 사실이 인정되는지 여부입니다.
항소심 법원은 피고인 A에 대한 원심 판결 중 일부(판시 제1 죄, 제3의 나, 다 죄 부분 및 제2 원심판결 전체)를 파기하고, 징역 3년 6개월 및 벌금 2,000,000원을 선고했습니다. 벌금을 납입하지 않을 경우 100,000원을 1일로 환산한 기간 피고인을 노역장에 유치하도록 했습니다. 피고인 A에 대한 나머지 부분 및 피고인 B에 대한 항소는 모두 기각되었습니다. 따라서 피고인 B은 원심의 벌금 15,000,000원 형이 유지되었습니다.
항소심 법원은 의료인이 아닌 피고인 A이 G의원과 FF의원을 실질적으로 개설·운영한 사무장 병원이 명백하다고 판단했습니다. 이는 의사 B과 S, 그리고 E의 진술, 피고인 A의 자금 및 인력 관리 내역, 병원 수익의 귀속 방식, 불법 의약품 판매, 마약류 제공, 비의료인 쁘띠 성형 교육 방조 등 다양한 증거에 의해 뒷받침되었습니다. 피고인 A은 병원 운영자로서의 역할을 수행하며 의사 B과 S의 급여 및 근태를 관리하고, 병원의 사업자 통장을 관리하며 홍보비, 인테리어 비용 등 운영비를 지급하고, 진료 외의 불법 수익을 창출했습니다. 특히, 피고인 A이 이전에 유사한 사무장 병원 운영 전력이 있었고, G의원이 이전 병원의 폐업 직후 동일한 장소에서 확장 개설된 점도 판단에 중요한 근거가 되었습니다. 또한, 피고인 A이 성매매·유흥업소 종사 여성들에게 성형수술을 알선하며 무등록 대부업을 영위하고, 의료장비에 대한 가처분 고시문을 무시하고 의료장비를 이동시킨 공무상표시무효죄도 인정되었습니다. 피고인 A의 원심 판결 중 일부가 파기된 것은, 여러 개의 죄를 저질렀을 때 하나의 형을 선고해야 하는 경합범 관계에 있는 죄들이 포함되어 있었기 때문입니다. 이에 따라 법원은 피고인 A의 모든 유죄를 종합하여 징역 3년 6개월 및 벌금 2,000,000원의 형을 새로 선고했습니다. 피고인 B은 자신의 명의를 빌려주고 A의 불법 행위를 묵인하거나 가담한 죄가 인정되어 원심의 벌금형이 유지되었습니다. 법원은 피고인들의 양형부당 주장이 받아들여지지 않는다고 보았습니다.
이 사건에 적용된 주요 법령과 법리적 판단은 다음과 같습니다.
유사한 문제 상황에 처했을 때 다음 사항들을 참고할 수 있습니다.

광주지방법원 2020
서울남부지방법원 2021
부산지방법원 2019
서울동부지방법원 20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