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세금 · 행정
이 사건은 아파트 분양 사업을 하는 원고 회사가 시공사에 공사를 도급하여 아파트를 건축한 후, 법인세 신고 시 적용한 작업진행률 산정 방식에 대해 세무서장이 재계산하여 법인세를 부과한 것이 정당한지 여부가 쟁점이 된 사건입니다. 또한 법인세 신고 불성실에 따른 가산세 부과와 기타소득 및 이자소득의 소득 구분 및 시가 산정, 그리고 제2차 납세의무자에 해당하는지에 대한 다툼도 있었습니다. 대법원은 원고 회사의 상고를 모두 기각하며 세무서장의 처분이 정당하다고 판단했습니다.
원고 회사는 아파트 건설 및 분양 사업을 진행하며, 시공사에 공사를 맡겼습니다. 법인세 신고 시, 시공사로부터 청구된 공사대금을 기준으로 작업진행률을 계산하여 법인세를 납부했습니다. 그러나 세무서장은 시공사의 실제 공사 진행 정도에 따라 작업진행률을 재계산하여 더 많은 법인세를 부과했습니다. 원고 회사는 이 재계산 방식에 문제가 있다고 주장하며 소송을 제기했습니다. 또한, 토지 매도인들에게 지급된 금액의 소득 구분, 투자자들에게 지급된 금액의 소득 구분 및 상가 시가 산정, 그리고 한 주주의 제2차 납세의무 지정에 대해서도 이견이 발생하여 법적 분쟁으로 이어졌습니다.
이 사건의 주요 쟁점은 다음과 같습니다.
대법원은 원심의 판단이 정당하다고 보아 원고들의 상고를 모두 기각했습니다. 이에 따라 법인세 부과처분, 가산세 부과, 기타소득세 및 이자소득세 부과처분, 그리고 제2차 납세의무자 지정 모두 적법하다는 판결이 확정되었습니다. 상고에 따른 비용은 모두 원고들이 부담하게 되었습니다.
대법원은 장기 건설 계약에 따른 법인세 계산 시 '작업진행률'의 분자인 '당해 사업연도 말까지 발생한 총공사비 누적액'은 시공사의 실제 공사 진행 정도에 따라 지급의무가 발생한 공사비를 의미한다고 명확히 했습니다. 또한 법인세 신고 납부에 관한 의무 해태에 정당한 사유가 없다고 보았으며, 소득의 구분과 시가 산정에 있어서도 원심의 판단이 옳다고 보았습니다. 제2차 납세의무 주장에 대해서는 사실심의 증거 판단에 위법이 없다고 하여, 결국 원고들의 모든 주장을 받아들이지 않았습니다.
이 사건 판결에 적용된 주요 법령과 법리는 다음과 같습니다.
비슷한 문제 상황에 처한 경우 다음과 같은 점들을 참고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