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타 형사사건
외국인 피고인이 부업을 찾던 중 보이스피싱 조직에 속아 차량에 불법 장비를 싣고 다니는 일을 했으나, 보이스피싱 공모의 고의가 없었다는 이유로 무죄를 선고받은 사건입니다. 검사가 피고인의 유죄를 주장하며 항소했지만, 항소심 재판부는 원심의 무죄 판단이 정당하다고 보아 검사의 항소를 기각했습니다.
피고인 A는 부업을 찾던 중 '위챗'에서 '운전 기사, 월급 400만 원, 아침 8시부터 저녁 6시까지'라는 채용 공고를 보고 연락했습니다. 상대방(보이스피싱 조직원)은 피고인에게 전화번호, 여권 사진, 외국인등록번호를 요구했으며, 업무가 차량에 장비를 싣고 다니면서 네트워크 신호를 테스트하는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이후 피고인의 차량에 장비가 설치되었고, 피고인은 지시에 따라 장비를 켠 채 여러 장소를 이동하며 운반하는 일을 했습니다. 검사는 피고인이 미필적으로나마 보이스피싱 조직과 공모하여 타인의 통신을 매개한다는 사실을 용인하고 범행에 가담했다고 주장하며 기소했으나, 1심 법원은 피고인의 고의를 인정하기 어렵다며 무죄를 선고했고 검사는 이에 불복하여 항소했습니다.
피고인이 보이스피싱 조직과 공모하여 범행에 가담할 고의가 있었는지 여부 및 원심의 무죄 판단이 사실을 오인한 잘못이 있는지 여부
검사의 항소를 기각하고, 피고인에게 무죄를 선고한 원심 판결을 유지했습니다.
항소심 재판부는 검사가 제출한 증거만으로는 피고인이 보이스피싱 조직원들과 공모하였다거나 범행에 대한 고의가 있었다고 인정하기 어렵다고 판단했습니다. 특히 피고인이 일반적인 상황에서 해당 장비의 기능을 알기 어려웠다는 점, 경제적으로 어려운 상태도 아니어서 굳이 불법적인 일에 가담할 이유가 없었다는 점, 그리고 받은 대가 역시 위험을 무릅쓸 만큼 크지 않았다는 점 등을 고려하여, 원심의 무죄 판단이 정당하다고 보아 검사의 항소를 기각했습니다.
이 사건은 형사재판의 기본적인 법 원칙들이 적용되었습니다.
고수익 아르바이트나 부업 제안을 받을 때는 매우 신중해야 합니다. 특히 다음과 같은 점에 유의해야 합니다.
서울중앙지방법원 2022
전주지방법원 2021
광주지방법원 2019
서울남부지방법원 20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