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타 형사사건 · 노동
피고인 A는 주식회사를 운영하는 사업주로서, 퇴직한 근로자 D에게 3,130,434원의 퇴직금을 법정 기한인 퇴직일로부터 14일 이내에 지급하지 않아 근로자퇴직급여 보장법 위반 혐의로 기소되었습니다.
피고인 A가 운영하는 주식회사 C에서 2016년 10월 1일부터 2018년 9월 30일까지 근무한 근로자 D가 퇴직했음에도 불구하고, 피고인이 퇴직일로부터 14일 이내에 퇴직금 3,130,434원을 지급하지 않으면서 분쟁이 시작되었습니다. 당사자 간에 지급기일 연장에 대한 합의도 없었습니다.
사업주가 퇴직한 근로자에게 퇴직금을 법정 기한 내에 지급하지 않은 행위가 근로자퇴직급여 보장법을 위반한 것인지 여부 및 그에 대한 형사 책임.
법원은 피고인 A에게 벌금 200만 원을 선고하되, 이 판결 확정일로부터 1년간 벌금형의 집행을 유예했습니다. 만약 집행유예가 실효되거나 취소되고 벌금을 납입하지 않을 경우, 10만 원을 1일로 환산한 기간 동안 노역장에 유치하도록 명령했습니다.
피고인이 퇴직금 미지급 사실을 인정하고 반성하며, 판결 선고 전 근로자 D에게 퇴직금 3,061,320원을 지급하는 등 양형에 유리한 사정이 참작되어 벌금형에 집행유예가 선고되었습니다. 이는 사업주가 법정 기한 내에 퇴직금을 지급해야 할 의무를 위반했을 때 형사 처벌을 받을 수 있음을 보여주는 사례입니다.
본 사건은 퇴직금 미지급으로 인한 근로자퇴직급여 보장법 위반 사안입니다.
근로자퇴직급여 보장법 제9조 (퇴직금 지급) 이 조항은 사용자가 근로자가 퇴직한 날로부터 14일 이내에 퇴직금을 지급해야 하는 원칙을 규정합니다. 다만, 특별한 사정이 있다면 당사자 간의 합의에 따라 지급기일을 연장할 수 있습니다. 본 사건에서 피고인은 근로자 D의 퇴직금 3,130,434원을 합의 없이 14일 이내에 지급하지 않아 이 조항을 위반했습니다.
근로자퇴직급여 보장법 제44조 제1호 (벌칙) 제9조의 의무를 위반하여 퇴직금을 지급하지 아니한 자는 3년 이하의 징역 또는 2천만 원 이하의 벌금에 처해질 수 있다고 명시하고 있습니다. 피고인 A는 이 조항에 따라 형사 처벌의 대상이 되었으며, 벌금형을 선고받았습니다.
형법 제62조 제1항 (집행유예의 요건) 법원이 3년 이하의 징역이나 금고를 선고할 경우, 범인의 연령, 성행, 환경, 범행 동기, 범행 후의 정황 등을 참작하여 1년 이상 5년 이하의 기간 동안 형의 집행을 유예할 수 있다는 내용입니다. 피고인이 퇴직금 미지급 사실을 인정하고 반성하며, 퇴직금 일부를 지급한 점 등이 참작되어 벌금형의 집행이 유예되었습니다.
형법 제70조 제1항, 제69조 제2항 (벌금 미납시 노역장 유치) 벌금형이 확정된 후 벌금을 납입하지 않을 경우, 일정 금액을 1일로 환산하여 해당 기간 동안 노역장에 유치될 수 있다는 규정입니다. 이 사건에서는 집행유예가 실효되거나 취소되고 피고인이 벌금을 납입하지 않을 경우, 1일 10만 원을 기준으로 노역장에 유치될 것이 명시되었습니다.
형법 제51조 (양형의 조건) 재판부가 형량을 정할 때 고려해야 할 여러 조건들, 예를 들어 범인의 연령, 성행, 지능, 환경, 피해자에 대한 관계, 범행의 동기, 수단과 결과, 범행 후의 정황 등을 포괄적으로 규정하고 있습니다. 이 사건에서도 피고인의 연령, 성행, 환경, 범행 동기, 범행 후 정황(퇴직금 일부 지급 등)이 양형을 결정하는 데 중요한 요소로 고려되었습니다.
사업주는 근로자가 퇴직한 경우 특별한 사정이 없다면 퇴직일로부터 14일 이내에 퇴직금을 반드시 지급해야 합니다. 퇴직금 지급 기한을 연장하려면 근로자와 명확한 합의가 있어야 하며, 이는 서면으로 남겨두는 것이 분쟁 예방에 도움이 됩니다. 퇴직금을 기한 내에 지급하지 않으면 근로자퇴직급여 보장법 위반으로 3년 이하의 징역 또는 2천만 원 이하의 벌금형에 처해질 수 있습니다. 수사 및 재판 과정에서 퇴직금 미지급 사실을 인정하고 반성하며, 실제 퇴직금을 지급하려는 노력을 보인다면 양형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이 사건의 경우에도 피고인이 재판 중 퇴직금 일부를 지급한 사실이 양형에 유리하게 작용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