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압류/처분/집행
피고인은 2019년 8월부터 2021년 11월까지 인터넷 도박 사이트에서 1,320회에 걸쳐 약 19억 원을 입금하며 상습적으로 도박했습니다. 도박 자금을 마련하기 위해 2021년 4월부터 12월까지 5명의 피해자들에게 투자 사기 피해를 회복시켜 주겠다고 속여 총 1,512만 원을 편취했습니다. 법원은 피고인에게 징역 1년을 선고하고, 2년간 형의 집행을 유예했습니다. 또한 보호관찰과 함께 240시간의 사회봉사, 40시간의 도박치료 프로그램 수강을 명령했습니다. 피해자 B의 배상명령 신청은 배상책임 범위가 명확하지 않다는 이유로 각하되었습니다.
피고인 A는 2019년 8월 15일경부터 2021년 11월 12일경까지 약 2년 3개월 동안 인터넷 도박 사이트 '파워볼' 게임에 총 1,320회에 걸쳐 19억 8,619만 4천 원을 입금하며 상습적으로 도박을 했습니다. 이후 피고인은 도박 자금을 마련하기 위해 2021년 4월 16일경부터 2021년 12월 25일경까지 인터넷 사기 피해자 카페에서 알게 된 피해자 G 외 4명에게 접근했습니다. 피고인은 이들에게 "투자 사기 당한 금액의 80%까지 회복시켜 줄 수 있다. 보증금을 송금해라."라고 거짓말하여, 피해자들이 속아 보낸 합계 1,512만 원을 편취했습니다.
이 사건의 주요 쟁점은 피고인의 인터넷 도박 행위가 '상습성'을 가지는지 여부와 도박 자금 마련을 위한 '사기' 행위가 인정되는지였습니다. 또한 여러 범죄가 동시에 발생했을 때의 형량 결정, 그리고 피해자의 배상명령 신청이 적절한지에 대한 법원의 판단이 중요하게 다루어졌습니다.
법원은 피고인에게 징역 1년을 선고했습니다. 다만, 이 판결이 확정된 날로부터 2년간 위 형의 집행을 유예했습니다. 피고인에게는 보호관찰과 240시간의 사회봉사, 40시간의 도박치료 프로그램 수강을 명령했습니다. 배상신청인 B의 배상명령 신청은 배상책임의 범위가 명확하지 않다는 이유로 각하했습니다.
피고인은 상습 도박과 도박 자금 마련을 위한 사기죄로 유죄 판결을 받았으나, 범행 인정, 피해자들과의 합의, 도박 중독 치료 노력 등을 참작하여 집행유예를 선고받았습니다. 그러나 피해자의 배상명령 신청은 책임 범위의 불명확성으로 인해 받아들여지지 않았습니다.
이 사건에는 상습도박과 사기에 대한 여러 형법 조항이 적용되었습니다.
형법 제246조 제2항 (상습도박): 이 조항은 단순 도박을 넘어 반복적이고 습관적으로 도박을 한 경우에 적용됩니다. 피고인은 장기간에 걸쳐 거액을 도박에 사용했으므로, 법원은 피고인의 도박 행위에 상습성을 인정하여 해당 조항을 적용했습니다. 상습도박은 3년 이하의 징역 또는 2천만 원 이하의 벌금에 처해집니다.
형법 제347조 제1항 (사기): 이 조항은 사람을 속여 재물을 가로채거나 재산상의 이익을 얻었을 때 적용됩니다. 피고인이 피해자들에게 '투자금 회복'을 미끼로 보증금을 요구하며 돈을 가로챈 행위가 이에 해당하여 사기죄가 성립했습니다. 사기죄는 10년 이하의 징역 또는 2천만 원 이하의 벌금에 처해집니다.
형법 제37조 전단 (경합범 가중): 피고인이 상습도박죄와 여러 건의 사기죄 등 여러 개의 죄를 저질렀고, 이 죄들이 아직 판결이 확정되지 않았기 때문에 이 조항이 적용되어 하나의 형이 선고되었습니다.
형법 제62조 제1항 (집행유예): 법원은 3년 이하의 징역 또는 금고형을 선고할 때, 죄를 지은 사람의 나이, 환경, 범행 동기, 결과 등을 참작하여 정상에 참작할 만한 사유가 있으면 1년 이상 5년 이하의 기간 동안 형의 집행을 유예할 수 있습니다. 피고인이 범행을 인정하고, 사기 피해자들에게 피해 금액을 모두 반환했으며, 일부 피해자와 합의한 점, 도박 중독 치료를 받고 있는 점 등이 집행유예를 선고하는 유리한 정상으로 고려되었습니다.
형법 제62조의2 (보호관찰, 사회봉사명령 및 수강명령): 집행유예를 선고할 때 필요하다고 인정되면 보호관찰을 명하거나 사회봉사 또는 수강 명령을 함께 부과할 수 있습니다. 피고인의 재범 위험성을 고려하여 도박 중독 재발 방지와 사회 복귀를 돕기 위해 보호관찰, 사회봉사 및 도박치료 프로그램 수강 명령이 함께 내려졌습니다.
소송촉진 등에 관한 특례법 제32조 제1항 제3호 및 제25조 제3항 제3호 (배상명령 각하): 이 법은 범죄 피해자가 형사 재판 과정에서 간편하게 피해 배상을 받을 수 있도록 하는 제도입니다. 그러나 배상책임의 범위가 명확하지 않거나, 손해액 산정이 복잡하여 배상명령을 하는 것이 적절하지 않다고 판단될 경우 법원은 배상명령 신청을 각하할 수 있습니다. 본 사건에서는 피해자 B의 배상 책임 범위가 명확하지 않다는 이유로 배상명령 신청이 각하되었습니다.
인터넷 도박은 단순한 오락을 넘어 중독성이 매우 강하고 명백한 불법 행위이므로 절대 가까이하지 않아야 합니다. 상습적으로 도박을 할 경우 형사 처벌을 피할 수 없으며, 불법 도박 자금을 마련하기 위한 사기 행위는 더욱 가중된 처벌을 받을 수 있습니다. '투자 사기 피해 회복'을 명목으로 '보증금'이나 '수수료'를 요구하는 경우는 2차 사기일 가능성이 매우 높으므로 각별히 주의해야 합니다. 피해금을 돌려받기 위해서는 가해자와 직접 합의를 시도하거나 민사소송을 제기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형사 재판 중 신청하는 배상명령 제도는 배상 책임의 범위가 명확하지 않으면 각하될 수 있습니다. 도박 중독은 스스로 극복하기 어려운 질병이므로, 의지력만으로 해결하려 하지 말고 전문 치료 기관의 도움을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창원지방법원 2019
대구지방법원서부지원 2022
서울남부지방법원 2020
창원지방법원 20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