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매매/소유권 · 상속
이 사건은 망인이 사망하기 전 배우자에게 상당한 재산을 증여하고 유증하자, 망인의 자녀들이 배우자를 상대로 유류분 반환을 청구하고, 배우자에게 이루어진 부동산 소유권이전등기의 말소 및 망인의 대여금 채권 반환 등을 요구한 사건입니다. 법원은 부동산 소유권이전등기 말소 청구는 증거 부족으로 기각했지만, 망인의 대여금 채권과 유류분 반환 청구는 일부 인용했습니다. 특히, 피고(배우자)에게 증여 및 유증된 재산이 원고(자녀들)의 유류분을 침해했다고 판단하여, 피고는 원고들에게 유류분 부족액 및 망인의 대여금 중 원고들의 상속지분에 해당하는 금액을 반환하되, 원고 중 한 명이 상속 재산을 인출한 부분은 피고의 채권과 상계하여 최종 금액을 정했습니다.
망인 E는 2010년 피고 D와 혼인 후 2017년 폐암으로 사망했습니다. 망인의 상속인으로는 배우자인 피고 D와 전 배우자 사이의 자녀들인 원고 A, B, C 그리고 G가 있습니다. 망인은 사망하기 전인 2016년 10월 25일에 소유 부동산의 1/3 지분을 피고에게 증여했고, 2017년 3월 17일 사망 당일에는 나머지 2/3 지분을 피고에게 유증했습니다. 이에 자녀들인 원고들은 피고에게 마쳐진 부동산 소유권이전등기가 무효이므로 말소되어야 하며, 피고가 망인의 동의 없이 망인의 계좌에서 거액을 인출했으므로 부당이득을 반환하고, 자신들의 최소한의 상속분인 유류분이 침해되었으므로 유류분을 반환하라고 청구했습니다.
피고 명의로 마쳐진 부동산 소유권이전등기의 효력, 망인의 피고에 대한 대여금 채권의 인정 여부, 피고의 망인 계좌 무단 인출 주장에 대한 판단, 원고들의 피고에 대한 유류분 반환 청구 인정 여부 및 범위, 그리고 원고 B의 상속재산 인출에 대한 피고의 상계 항변의 타당성입니다.
법원은 다음과 같이 판결했습니다:
이 사건은 망인의 자녀들이 배우자를 상대로 제기한 유류분 반환 소송으로, 법원은 배우자에게 이루어진 부동산 증여 및 유증의 유효성은 인정하면서도, 자녀들의 유류분 부족액을 산정하여 배우자에게 그 부족분을 금전으로 반환할 의무를 인정했습니다. 또한 망인의 배우자에 대한 대여금 채권과 상속재산 인출로 인한 부당이득 반환 채권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최종 반환액이 결정되었습니다. 결과적으로 자녀들의 유류분 보호라는 취지는 인정되었으나, 모든 청구가 받아들여지지는 않았습니다.
이 사건은 주로 민법상 유류분 제도와 관련된 법리가 적용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