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국의 최대 쇼핑 시즌 중 하나인 추수감사절 연휴가 다가오는데도 소비자 지갑은 열리기는커녕 점점 더 닫히는 모양새입니다. 9월 소매판매 증가폭은 지난 4개월 중 가장 낮고, 11월 소비자신뢰지수는 7개월 만에 최악으로 떨어졌거든요. 고물가와 일자리 불안, 그리고 잇따르는 기업 해고가 소비 위축에 직접적 영향을 미쳤다는 분석이 많아요. 연방정부 셧다운 종료 이후 기대했던 경기 반등 효과도 묻힌 상태죠.
AI와 자동화의 바람이 기업 구조조정을 재촉하는 모습도 흥미로운데요. 기술 진보가 사람의 일자리를 12%가량 대체할 것이란 MIT와 오크리지국립연구소 공동 연구 결과가 있거든요. 그런 만큼 미국에서는 애플, 아마존, 버라이즌 같은 빅테크는 물론 스타벅스와 타깃까지 대규모 감원 소식이 쏟아지고 있습니다. 한국과 달리 미국의 노동 시장은 해고가 상대적으로 유연해 바로바로 인력 구조조정을 단행한다는 점, 여기 법적·제도적 배경이 있죠.
경제 둔화 우려가 커질수록 연방준비제도가 다음 회의에서 금리를 인하할 가능성이 급상승했어요. 무려 85% 넘는 확률로 보는 시장이 점점 많아지고 있죠. 이 과정에서 차기 연준 의장 후보로 케빈 해싯 NEC 위원장이 부상 중인데, 그가 대통령의 뜻에 맞춰 금리 인하를 밀어붙일 인물로 기대됩니다. 금융시장에선 이번 크리스마스 전에 차기 연준 의장 발표가 이뤄지면 박스오피스급 충격을 줄 거라 보는 분위기고요.
미국의 이 사례를 보면서 우리도 노동법과 해고 관련 법률을 다시 점검할 필요가 있습니다. AI 등 기술 발전으로 인한 직업 환경 변화, 그리고 그에 따른 인력 감축이 현실화되고 있어서이지요. 노동 시장의 유연성에 따른 해고 시 절차적 요건이나 해고 예고 의무 같은 법적 규정을 꼼꼼히 이해하는 게 중요해요. 또한 소비자 신뢰와 금리 변동에 따른 시장 환경 변화는 개인의 금융 전략에도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점, 유념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