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현대자동차그룹이 올해 1차 협력사들에게 대미(對美) 관세를 전액 지원하기로 했답니다. 단순히 1차뿐 아니라 2·3차 협력사에도 상생협력 프로그램을 확대 적용하며, 업계 전반에 활력을 불어넣겠다고 하네요. 올해 실제 부담한 관세까지 소급해서 챙겨준다니, 협력사 입장에선 이보다 더 반가운 소식이 없겠어요.
수입 관세, 특히 미국산 제품을 수입하거나 미국에 수출하는 입장에선 관세가 기업 비용의 큰 부분을 차지해요. 현대차그룹 1차 협력사들은 현대차 앨라배마 공장, 기아 조지아 공장 등에 부품을 공급하는 과정에서 미국 관세를 감당해야 했죠. 이걸 현대차가 전액 지원하는 건 단순한 지원 이상의 의미가 있습니다.
협력사들이 관세 부담 때문에 경영상 위기를 겪거나 자금난에 처하는 걸 현대차가 직접 막아주는 꼴인데요. 사소한 관세 비용 한두 푼도 모이면 꽤 큰 자금 부담인데, 이걸 전액 지원하는 건 협력사의 '숨통을 틔워준다'고 봐야겠죠.
1차 협력사는 현대차·기아와 직접 거래하는 업체고, 2·3차 협력사는 이들에게 부품이나 원자재를 공급하는 하청업체 등을 말해요. 현대차그룹은 직접 거래 없더라도 중소 2·3차 협력사 5,000여 곳까지 지원 확대할 계획이라니 자동차 공급망 전체를 안정시키겠다는 야심 찬 포부가 느껴집니다.
한발 더 나아가 미래 모빌리티 부품 분야 투자, 연구개발(R&D), 스마트 공장 도입, 안전과 보안 관리 지원까지 지원 확대에 나섭니다. 이쯤 되면 ‘동반성장’이라는 단어가 얼마나 현실적으로 다가오는지 알 수 있죠.
협력사와 대기업 간 계약 관계와 관련해 대기업이 중소 협력사에 불공정 계약 조건이나 과도한 비용 부담을 전가하는 경우, 법적으로 다툼이 벌어질 수 있어요. 관세 부담을 대폭 지원하는 건 실질적으로 협력사의 비용 부담을 덜고 계약 공정성을 개선하는 효과도 있다는 점에서 긍정적입니다.
이런 상생 정책이 꾸준히 이어지려면 현대차뿐 아니라 자동차 산업 전반의 '관행 개선'이 필수예요. 단발성 지원이나 홍보성 프로그램으로 끝난다면 협력사 입장에선 여전히 불공정과 불안감 속에 있을 수밖에 없거든요.
자동차 산업 공급망을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데 있어 대기업과 협력사 간 신뢰와 공정성은 필수불가결한 토대입니다. 이번 현대차그룹의 지원책이 실제 중소 협력사의 경영 안정성과 성장의 숨통을 틔우는 진짜 '상생'으로 남길 바라요. 시장과 소비자 입장에서도 좋은 파트너십이 결국엔 더 나은 제품과 서비스로 돌아오니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