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근 금융 거버넌스는 혁신적인 서비스인 오픈뱅킹을 통해 여러 금융기관의 계좌 조회와 이체를 하나의 시스템에서 간편하게 이용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편리함 뒤에는 피해자의 개인정보 탈취와 위조 신분증을 이용한 비대면 계좌 개설, 그리고 이를 통한 무단 출금이라는 심각한 보이스피싱 범죄의 위험이 존재합니다. 범죄자들은 오픈뱅킹의 시스템을 악용하여 피해자 명의 계좌를 등록 후 자금을 빼내기도 합니다.
정부와 금융당국이 3608개 금융사를 연계해 도입한 오픈뱅킹 안심차단 서비스는 소비자가 본인 계좌가 개설된 금융회사 목록을 직접 확인한 뒤 차단할 금융회사를 선택하게 하여, 해당 금융회사 내 모든 계좌의 오픈뱅킹 등록 및 이체, 조회를 차단하도록 설계되어 있습니다. 이로 인해 범죄자가 피해자의 계좌를 무단 이체하거나 조회하는 것을 근본부터 막으며, 금융소비자의 금융사기 피해를 효과적으로 예방할 수 있습니다.
한편, 이 서비스에 가입하면 오픈뱅킹을 통한 모든 이체 및 송금이 차단되므로 간편결제, 지역사랑상품권 구매 등 일부 금융생활도 제한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가입 전 본인이 현재 이용 중인 금융서비스와 이체 방식들을 꼼꼼히 확인하여 본인에게 적합한 차단 대상 금융사를 선정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오픈뱅킹 안심차단 서비스는 지난해 8월 도입된 여신거래 안심차단, 올해 3월 시행된 비대면 계좌개설 안심차단에 이은 3단계 금융거래 보호 정책의 완성으로, 보이스피싱 범죄가 해외 조직과 연계되어 점점 지능화되는 현실에 대응하는 정부의 총력 대응 전략입니다. 금융감독원 이찬진 원장은 이러한 서비스를 중대 민생범죄로부터 국민의 재산과 생명을 지키는 핵심 수단으로 평가하며, 각 기관의 홍보와 협조가 필수적임을 강조했습니다.
소비자는 금융결제원의 어카운트인포 앱을 포함한 공식 채널에서 안심차단 가입 내역을 수시로 확인할 수 있으며, 가입 시점 이후 연 1회 금융회사로부터 문자나 이메일을 통해 가입 사실이 통지됩니다. 이러한 투명한 절차는 금융소비자가 자신의 금융거래 안전상태를 지속적으로 점검하고 관리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해 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