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 정부를 이야기할 때 가장 많이 듣는 고민 중 하나가 바로 **‘보안’과 ‘혁신 속도’**의 충돌입니다. 민간 클라우드는 빠르고 혁신적이지만 공공 분야에 요구되는 보안과 자주권에는 종종 미치지 못하기 때문입니다. 결국 둘을 적절히 섞는 하이브리드 방식을 선택해야 한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의견입니다.
최근 대전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를 겪으면서 현실로 닥친 행정망의 취약성은 정부가 클라우드를 안전하게 활용하는 데 얼마나 조심해야 하는지를 극명하게 보여주었습니다. 이 사건을 계기로 AI 시대에 맞게 전자정부 시스템 전반적인 재설계가 진행 중인데, 여러 부처의 복잡한 규제들이 민간 클라우드 도입을 막고 있다는 점도 크게 지적됐습니다.
우리나라 공공기관마다 각각 별도의 데이터 시스템을 운영하는 탓에 부처 간 협력은 단절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데이터의 칸막이는 문제 발생 시 신속한 대응을 어렵게 만듭니다. 그래서 국가 AI 전략위원회가 중앙에서 데이터 관리 컨트롤타워 역할을 맡아야 한다는 목소리가 큽니다. 서로 다른 부처가 협력해서 시너지 효과를 내는 것이 미래 경쟁력입니다.
비밀스러운 정보는 공공 폐쇄형 클라우드에, 비교적 덜 민감한 정보와 서비스는 민간 클라우드에 담당시키는 방식이 바로 ‘하이브리드’ 클라우드 전략입니다. 미국 등 선진국 국방 분야에서도 이미 활용 중이라 신뢰를 높이고 있습니다. 하지만 여러 새로운 규제가 뒤섞여 혼란을 일으키는 점이 문제입니다. 따라서 제도를 간소화하고 일관성 있게 유지하는 것이 필수라고 강조됩니다.
거대한 전력이 필요한 AI 데이터센터를 제대로 운영하려면 전력망 보완과 인허가 절차 간소화가 필수입니다. 현재 지나치게 많은 허가 절차가 사업 진행을 지연시키고 있습니다. 이에 한 지역에 AI 데이터센터 단지를 집중 조성하고 인허가 규제를 완화하는 방안이 논의되고 있습니다.
AI 인프라 운영에 친환경 에너지 사용은 필수입니다. 전 세계적인 재생에너지 확대 분위기에도 불구하고 태양광 자원의 대부분이 중국산이라는 현실은 안타깝습니다. 결국 원전과 재생에너지 혼용 사용이 불가피하지만, 우리나라 기술력 강화 없이는 많은 낭비가 생긴다는 점을 기억해야 합니다.
이와 같이 디지털 정부 혁신에는 기술뿐 아니라 법과 제도 개선이 함께 필요하다는 점을 모두 명심해야 합니다. 그래야 우리 생활 깊숙이 스며든 AI와 클라우드 시대에 뒤처지지 않을 수 있을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