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우리 일상을 흔드는 개인정보 유출과 무단 소액결제 사건이 불거지면서 KT가 책임의 중심에 섰어요. 국회 국정감사에서 김영섭 KT 대표이사는 "사전 예방에 실패했다"며 고개를 숙였지만 내부적으로는 경영 리스크와 조직문화 문제까지 혼란이 가중되고 있죠.
이번 사건에서는 특히 KT가 피해 고객 전체에게 알림 문자 대신 일부에게만 개별 통지를 한 점이 도마 위에 올랐는데요. 국민 알 권리보다 과도한 ‘불안 조장 방지’에 집중했다고 합니다. SK텔레콤과 달리 전 국민 안내 없이 ‘피해자만’ 알린 건 대표적 미숙한 대응으로 볼 수밖에 없어요.
국감에서는 단순 기술적 실수가 아닌 도덕적 책임 논란까지 확산됐어요. 피해자만 362명, 피해 금액 2억 4천만 원 규모인데도, 초기 대응은 ‘없었다’는 답변 반복에 불과했다니 참 씁쓸하죠. 문제는 여기서 끝나지 않는다는 겁니다.
최근 강진 지역 직원의 극단적 선택, 내부 구조조정과 실적 압박 등 KT 내부 문제까지 꺼내지면서 ‘오너십 부재’가 확실시되고 있어요. 대표의 책임과 비전 없이 어떻게 공공 인프라 기업을 신뢰할 수 있겠냐는 비판이 잇따르고 있죠.
해결책은 단단한 보안 체계 재구축과 고객 중심 소통에 기초해야 합니다. 이번 사태는 ‘기술 문제’만이 아니라 ‘사람 문제’임을 보여줬어요. 내부 직원 처우 개선과 위기 대응 매뉴얼 정비, 그리고 실적 압박 문화를 바꾸는 것이 선결 과제라 할 수 있죠.
개인정보 보호는 단순 법적 의무를 넘어 국민 신뢰 확보의 밑거름이라는 점, 절대 잊지 말아야 하겠습니다. KT뿐 아니라 우리 모두에게 주는 교훈 아닐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