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명인제약이 상장할 때 현금을 잔뜩 배당해서 회사 가치를 낮추고, 증여·상속세를 아끼려는 '깡통 상장' 의혹이 있었어요. 깡통 상장이란 상장 직전 회사가 가진 현금을 몽땅 주주에게 나눠줘서 실리는 별로 없는데 주가만 뜬 그런 상황이죠. 하지만 이행명 대표는 "그랬으면 회사 보유 현금을 다 배당했지 왜 그대로 뒀겠느냐"며 의혹을 강하게 부인했어요.
그럼에도 업계에서는 "재무제표에 티가 날 수밖에 없고 이런 상황을 거래소가 심사에서 통과시키긴 어려워 보인다"며 승계용 상장 가능성이 크지 않다고 입을 모았어요. 즉, 깡통 상장으로 세금 아끼기는 현실적으로 쉽지 않다는 거죠.
이 대표는 향후 3~4년 내에 전문경영인 체제를 마련하겠다고 밝혔는데요. 소유와 경영을 분리해 승계 논란을 잠재우려는 의도가 엿보였어요. 하지만 오너 자녀가 회사 지분을 10%씩 보유하고 있고 광고 회사에 일감을 주는 등 내부 거래도 이어졌어요.
더 요상한 건 전문경영인 선임 계획이 당초 증권신고서에 빠져 있다가 금융당국의 정정 요구로 뒤늦게 기재됐다는 사실이에요. "정말 경영분리하려면 처음부터 공개하고 신고해야 했다"는 지적이 나왔죠.
명인제약은 상장 명분으로 "좋은 인재 영입과 연구개발 강화를 위해서"라고 밝혔어요. 제약사는 연구개발에 투자를 많이 해야 혁신 신약이 나오니까요! 하지만 실제로는 연구개발 투자 비중이 2022년 6.56%에서 2023년 상반기 4.71%로 줄었어요.
신약 사업도 올해 1월에 계약을 맺은 건 이미 진행 중인 프로젝트였고, 공모 자금으로 새롭게 큰 개발을 한다고 보기 힘든 상황이에요.
상장 구조나 지분 보유 의무 기간(6개월)은 매우 짧아 오너 일가가 지분을 빨리 팔 수 있다는 점도 투자자들 입장에선 신경 쓰이는 부분이에요.
이번 명인제약 사건은 "좋은 의도"와 "현실 행동" 사이의 괴리가 얼마나 큰지, 상장과 기업 운영이 얼마나 복잡한 이해관계 속에 있는지 알려줘요. 공식 발표만 믿기 어려운 ‘숨겨진 이야기’도 꼭 따져봐야 할 때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