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무방해/뇌물
마약 수사를 담당하던 경찰관 A는 과거 자신이 수사했던 마약사범 B과 부적절한 관계를 맺고 B에게 수사 정보를 알려주거나 마약 투약 혐의를 눈감아주는 등의 편의를 제공했습니다. 그 대가로 B으로부터 시가 70만 원 상당의 휴대폰 1대, 시가 110만 원 상당의 갤럭시 S7 엣지 1대, 44,000원 상당의 식사 등 금품을 수수했습니다. 이 사건은 경찰관 A의 직무유기, 범인도피, 공무상비밀누설, 뇌물수수 및 B의 뇌물공여 혐의로 기소되었습니다. 법원은 A에게 징역 10월 및 벌금 200만 원, B에게 벌금 300만 원을 선고했습니다.
서울 관악경찰서 소속 마약수사 담당 경찰관 A는 2014년 5월경 마약 투약 혐의로 B을 수사하면서 B을 알게 되었습니다. B의 고향 선배가 A의 직장 상사라는 인연으로 두 사람은 자주 연락을 주고받았고, B은 A에게 마약 사건 정보와 식사 등을 제공하며 관계를 형성했습니다. A는 그 대가로 B에게 지인의 지명수배 검색 등 각종 편의를 봐주는 등 부적절한 관계로 발전했습니다. 2016년 2월 12일 저녁경, B은 A에게 '자신이 마약을 했는데 다른 형사들이 잡으러 왔다, 해결해 달라'는 전화를 걸었습니다. A는 B의 마약 투약 혐의를 인지했음에도 B을 피의자로 입건하거나 소변 및 모발 검사를 실시하지 않은 채 귀가시켰습니다. 2016년 3월 중순경 B이 다른 경찰서의 마약 수사를 받게 되자, A는 B이 강서경찰서에 출석하기 전 관악경찰서에서 간이시약기로 소변 검사를 하도록 돕고 양성반응이 나오자 '강서 형사에게 전화하여 출석을 미뤄달라, 3번까지 미룰 수 있다, 그동안 맥주를 많이 마시고 머리도 염색해라'라고 조언하여 B이 출석을 연기하게 했습니다. 2016년 5월 10일경 A는 B으로부터 지인 N의 수배 정보 조회를 부탁받고 형사사법 정보시스템(KICS) 등을 통해 N의 사건 정보를 확인한 후 B에게 'N는 마약 사건으로는 수배된 내역이 없다'고 알려주었습니다. 같은 날 A는 B으로부터 공무상 비밀 누설 등에 대한 대가 명목으로 시가 44,000원 상당의 술과 음식을 대접받고 시가 70만 원 상당의 휴대폰 1대를 교부받았습니다. 2016년 5월 20일경 A는 B에게 동료 H이 사용할 휴대폰을 구해달라고 요구했고, B은 A의 지인 T의 필로폰 투약 사실 조사에 동행하면서 T의 불구속 수사와 자신에 대한 향후 수사 편의 제공 등의 대가로 시가 110만 원 상당의 갤럭시 S7 엣지 1대를 A에게 교부했습니다. 이러한 일련의 행위들은 A가 마약 수사 담당 경찰관으로서 직무상 의무를 저버리고 B의 범행을 비호하며 뇌물을 수수하는 부패 행위로 이어졌습니다.
이 사건의 핵심 쟁점은 다음과 같습니다.
법원은 피고인 A에게 징역 10월 및 벌금 2,000,000원에 처하고, 위 벌금을 납입하지 아니하는 경우 100,000원을 1일로 환산한 기간 피고인을 노역장에 유치할 것을 명령했습니다. 또한 압수된 휴대폰 1대(삼성, SM-G935L)를 피고인 A로부터 몰수하고, 피고인 A로부터 44,000원을 추징했습니다. 피고인 B에게는 벌금 3,000,000원에 처하고, 위 벌금을 납입하지 아니하는 경우 100,000원을 1일로 환산한 기간 피고인을 노역장에 유치할 것을 명령했습니다. 피고인 B으로부터 1,100,000원을 추징했습니다. 다만 피고인 A에 대한 2016년 1월 25일자 및 2016년 2월 18일자 각 부정처사후수뢰의 점과 피고인 B에 대한 2016년 1월 25일자 및 2016년 2월 18일자 각 뇌물공여의 점은 증거 불충분으로 무죄로 판단했습니다.
법원은 마약 담당 경찰관인 A가 자신의 본분을 망각하고 마약사범 B과 부적절한 관계를 맺으며 직무를 유기하고 범인을 도피시키며 공무상 비밀을 누설하고 뇌물을 수수한 행위를 매우 엄중하게 보았습니다. 특히 피고인 A가 범행을 모두 부인하며 반성하지 않는 모습을 보인 점을 지적하며 엄중한 처벌이 필요하다고 판단했습니다. 다만 A의 범행이 B을 정보원으로 활용하여 마약사범 수사를 진행하려던 과욕에서 비롯된 측면과 형사처벌 전력이 없다는 점을 참작하여 형을 결정했습니다. B에 대해서는 뇌물을 공여한 죄책이 가볍지 않으나 범죄사실을 모두 인정하고 반성하는 점, 공여한 금품이 비교적 소액인 점을 참작하여 벌금형을 선고했습니다. 이 판결은 공무원의 부패와 직무 태만에 대한 사회적 경각심을 일깨우는 중요한 사례입니다.
이 사건에 적용된 주요 법령과 법리는 다음과 같습니다.

창원지방법원통영지원 2023
서울중앙지방법원 2022
전주지방법원군산지원 2023
인천지방법원부천지원 20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