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타 부동산 · 기타 형사사건
피고인 A가 실제 소유자인 아파트를 내연관계에 있는 피고인 B 명의로 등기하는 명의신탁 약정을 체결하고 등기를 마쳤습니다. 법원은 피고인들이 이를 증여라고 주장했으나, 아파트 매매대금 출처, 명의수탁자의 문자메시지, 매도인 대리인의 진술 등을 종합하여 명의신탁 사실을 인정했습니다. 이에 피고인 A에게는 벌금 200만 원, 피고인 B에게는 벌금 100만 원을 선고했습니다.
피고인 A는 자신의 돈으로 아파트를 매수했지만 내연관계에 있던 피고인 B의 이름으로 소유권이전등기를 마쳤습니다. 이후 명의신탁 약정 사실이 드러나게 되자, 피고인들은 자신들이 아파트를 증여한 것이라고 주장하며 부동산실명법 위반 혐의를 부인했으나 법원은 이를 인정하지 않고 처벌하게 되었습니다.
피고인 A가 피고인 B에게 아파트를 증여한 것인지 아니면 부동산 실권리자명의 등기에 관한 법률을 위반하여 명의신탁한 것인지 여부입니다.
피고인 A에게 벌금 200만 원, 피고인 B에게 벌금 100만 원을 각 선고했습니다. 피고인들이 위 벌금을 납입하지 않을 경우 10만 원을 1일로 환산한 기간 피고인들을 노역장에 유치하도록 했습니다. 또한 피고인들에게 위 벌금에 상당한 금액의 가납을 명령했습니다.
재판부는 피고인들이 아파트를 증여한 것이라고 주장했음에도 불구하고, 피고인 A가 아파트 매매대금 전부를 부담한 점, 피고인 B가 인테리어 공사업자에게 '명의만 빌려줬고 공사와 상관 없다'는 문자메시지를 보낸 점, 매도인 대리인 E가 피고인 A가 동생 이름으로 해두겠다는 말만 했고 증여한다는 말은 하지 않았다고 진술한 점을 근거로 삼았습니다. 또한 피고인 B가 재산세를 납부하고 임대차계약을 체결했다고 주장한 내용이 소액이거나 최초 자료가 부족하여 실제 소유자로 인정하기 어렵다고 판단했습니다. 이러한 증거들을 종합하여 피고인 A가 피고인 B에게 아파트를 명의신탁한 사실이 인정된다고 결론 내렸습니다.
부동산실명법은 부동산 소유권의 투명성을 확보하고 불법적인 재산 은닉 및 투기를 방지하기 위해 마련된 법률입니다.
부동산의 실제 소유자와 등기 명의자가 다를 경우 이는 '부동산 실권리자명의 등기에 관한 법률(부동산실명법)' 위반으로 처벌될 수 있습니다. 특히 배우자 관계가 아닌 타인에게 명의를 신탁하는 것은 원칙적으로 법으로 금지되며 예외가 거의 없습니다. 부동산 매매대금을 누가 부담했는지, 부동산을 실제로 누가 관리하고 처분 권한을 행사했는지, 세금은 누가 납부했는지 등이 명의신탁 여부를 판단하는 중요한 증거가 됩니다. 만약 본인이 명의만 빌려주었다는 내용의 문자메시지나 진술 등이 있다면 이는 명의신탁의 강력한 증거가 될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합니다. 타인의 명의를 빌리거나 본인의 명의를 빌려주는 행위는 추후 법적 분쟁이나 처벌로 이어질 수 있으므로 신중하게 판단해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