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행정
원고 A는 B오피스텔 입주자대표회의가 2019년 4월 18일 C를 회장으로 선임한 결의가 관리규약에 위반되어 무효라고 주장하며 제1심 판결 취소와 해당 결의의 무효 확인을 청구했습니다. 하지만 법원은 원고가 제출한 추가 증거만으로는 회장 선임 결의가 무효이거나 개정된 관리규약 절차가 위법하다고 인정하기에 부족하다고 판단하여 원고의 항소를 기각했습니다.
B오피스텔 입주자대표회의에서 C를 회장으로 선임하는 결의가 이루어졌으나, 입주민 A는 이 결의가 관리규약에 어긋나고 관리규약 개정 절차 또한 위법하다고 주장하며 소송을 제기했습니다. A는 제1심에서 패소한 후 항소심에서도 같은 주장을 펼쳤습니다.
B오피스텔 입주자대표회의의 회장 선임 결의가 관리규약에 위반되어 무효인지 여부, 그리고 해당 관리규약의 개정 절차가 적법했는지 여부가 주요 쟁점이었습니다.
법원은 원고 A의 항소를 기각하고, 항소 비용은 원고가 부담하도록 결정했습니다.
법원은 원고가 추가로 제출한 증거와 증언만으로는 피고 입주자대표회의의 회장 선임 결의가 관리규약에 위반되어 무효이거나, 관리규약 개정 절차가 위법하다는 주장을 인정하기 어렵다고 판단했습니다. 이에 따라 제1심 법원의 판단이 정당하다고 보아 원고의 항소를 기각하며, 회장 선임 결의는 유효하다고 보았습니다.
이 사건에서는 '민사소송법 제420조 본문'이 적용되어, 항소심 법원이 제1심 법원의 판결 이유를 그대로 받아들이고 추가적인 판단을 더할 수 있음을 보여줍니다. 즉, 항소심에서 새로운 증거가 제출되었더라도, 그 증거가 제1심의 판단을 뒤집을 만큼 충분하지 않다고 판단되면 제1심의 결론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이 사례처럼 입주자대표회의의 결의에 대한 무효 확인 소송에서는 해당 공동주택의 '관리규약'이 가장 중요한 법적 기준이 됩니다. 관리규약에 명시된 절차와 요건을 준수했는지가 결의의 유효성을 판단하는 핵심입니다.
입주자대표회의의 회장 선임이나 주요 결의에 대해 이의를 제기할 경우, 해당 결의가 관리규약의 어떤 조항을 구체적으로 위반했는지 명확한 증거를 확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관리규약 개정 절차의 위법성을 주장할 때에도, 어떤 절차가 어떻게 지켜지지 않았는지를 구체적으로 입증할 자료를 준비해야 합니다. 단순히 추측이나 간접적인 증거만으로는 주장을 인정받기 어려울 수 있습니다. 회의록, 투표 결과, 공고문, 관련 서류 등을 꼼꼼히 확인하고 보관하는 것이 좋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