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타 민사사건
채권압류 및 추심명령의 별지 기재 내용 중 압류 및 추심할 채권의 표시에 오류가 있어 이를 바로잡기 위해 결정경정 신청이 제기된 사건입니다. 법원은 신청인의 주장이 타당하다고 판단하여 원래의 결정에 대한 정정을 명령했습니다.
신청인 A는 피신청인 C에 대한 채권 확보를 위해 채권압류 및 추심명령을 받았으나, 해당 명령의 별지에 기재된 '압류 및 추심할 채권의 표시' 부분에 실수가 있었음을 발견했습니다. 이에 신청인은 명령의 효력이나 집행에 문제가 생길 것을 우려하여 법원에 결정경정을 신청했습니다.
이 사건의 핵심 쟁점은 기존에 발령된 채권압류 및 추심명령의 별지에 기재된 '압류 및 추심할 채권의 표시' 내용에 오류가 있는지 여부와, 오류가 있다면 이를 경정할 필요성과 정당성이 있는지 여부였습니다.
법원은 신청인의 주장이 이유 있다고 판단하여, 2020년 6월 3일 자 채권압류 및 추심명령에 관한 결정의 별지 중 압류 및 추심할 채권의 표시를 '경정전목록'에서 '경정후목록'으로 정정하도록 결정했습니다.
이 사건은 채권압류 및 추심명령의 내용 중 경미한 기재 오류를 바로잡기 위한 절차로서, 법원은 신청인의 정정 요청을 받아들여 원래의 결정 내용을 수정하도록 명령함으로써 법률 문서의 정확성을 확보했습니다.
민사소송법 제211조 (판결의 경정)는 판결에 오기, 계산착오 기타 이에 준하는 명백한 오류가 있는 때에는 법원은 직권으로 또는 당사자의 신청에 따라 경정결정을 할 수 있다고 규정하고 있습니다. 비록 이 사건이 '결정경정'이지만, 법원 결정 역시 판결에 준하여 그 명백한 오류를 바로잡을 수 있는 법리가 적용됩니다. 이는 법률 문서의 정확성과 법적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한 중요한 절차입니다. 따라서 채권압류 및 추심명령과 같은 결정문에 기재된 압류 대상 채권의 표시가 명백히 잘못된 경우, 위 법리에 따라 경정 신청을 통해 잘못된 부분을 바로잡을 수 있습니다. 경정은 원칙적으로 판결의 내용에 실질적인 변경을 가져오지 않는 범위 내에서 이루어져야 합니다.
법원 결정문이나 명령문은 그 내용이 정확해야 법적 효력을 온전히 가질 수 있습니다. 만약 채권압류 및 추심명령과 같은 중요한 법률 문서에 오기나 누락이 발견된다면, 지체 없이 법원에 결정경정 신청을 고려해야 합니다. 특히 압류 대상 채권의 표시와 같이 핵심적인 내용이 잘못 기재된 경우에는 집행 과정에서 심각한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초기 단계부터 서류 내용을 꼼꼼히 확인하고 오류 발견 시 즉시 정정 절차를 밟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 절차는 주로 문명(文面)상의 명백한 오류나 누락을 바로잡는 데 활용됩니다.
-%EA%B3%A0%ED%99%94%EC%A7%88.jpg&w=256&q=100)
대전지방법원 2022
수원지방법원안산지원 2023
울산지방법원 2020
의정부지방법원 20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