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부동산 매매/소유권
주식회사 A, B, C는 순천시 일대 주상복합 공동주택 신축사업을 추진하는 개발 법인들입니다. 이들은 2022년 3월, 피고 D로부터 사업 부지 내 토지와 건물을 50억 원에 매수하고 소유권 이전등기를 마쳤습니다. 그러나 피고 D는 건물 인도를 거부하며, 원고 A의 대리인이라고 주장하는 J과 체결한 10억 원 규모의 '권리금계약'을 근거로 점유할 권원이 있다고 주장했습니다. 이 권리금계약은 원고 A이 기존 상가 임차인들에게 권리금을 지급하는 내용으로 되어 있었습니다. 원고들은 J이 원고 A의 허락 없이 인장을 위조하여 계약서를 작성했으며, J에게는 권리금 계약을 체결할 권한이 없었고, 피고가 표현대리 책임을 주장할 정당한 이유도 없다고 반박했습니다. 법원은 권리금 계약서의 인영이 위조되었고 J에게 계약 체결 권한이 없었으며, 피고가 표현대리를 주장할 만한 정당한 이유도 없다고 판단하여 원고들의 건물 인도 청구를 인용했습니다.
원고들(주식회사 A, B, C)은 주상복합 신축사업을 위해 피고(D)로부터 토지와 건물을 매입하고 소유권 이전 등기를 완료했습니다. 그러나 피고는 건물을 인도하지 않고, 원고 A의 대리인이라고 주장하는 J과 맺은 '권리금 계약'에 따라 원고 A이 기존 임차인들에게 10억 원의 권리금을 지급할 의무가 있으므로 이를 받을 때까지 건물을 점유할 권리가 있다고 주장하며 인도를 거부했습니다. 원고들은 J이 권한 없이 계약서를 위조한 것이라고 주장하며 건물 인도를 요구했고, 이는 '권리금 계약'의 유효성 및 대리권 유무를 둘러싼 분쟁으로 발전했습니다.
이 사건의 주요 쟁점은 다음과 같습니다.
법원은 다음과 같은 이유로 피고의 주장을 모두 배척하고 원고들의 청구를 인용했습니다.
법원은 피고가 원고들에게 50억 원의 매매대금을 모두 지급받았으므로,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이 사건 부동산을 인도할 의무가 있다고 보았습니다. 피고의 권리금 계약 주장은 효력이 없고, 표현대리도 성립하지 않아 피고는 더 이상 건물을 점유할 권원이 없다고 결론 내렸습니다. 이에 따라 피고는 원고들에게 별지 목록 기재 각 부동산을 인도해야 하며, 소송 비용은 피고가 부담하도록 판결했습니다.
이 사건과 관련된 주요 법령과 법리는 다음과 같습니다.
유사한 부동산 거래 또는 개발 사업 관련 상황에서 다음과 같은 점들을 참고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