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타 민사사건
A 보험회사는 베트남에서 수입되던 우드펠렛이 해상 운송 중 화재로 손상되자 C 회사에 보험금 1억 3천여만 원을 지급했습니다. 이후 A 보험회사는 운송을 담당한 B 회사에 해당 손해에 대한 구상금을 청구했으나 법원은 화물의 특성이나 화재로 인한 사고는 운송인의 책임이 면제되는 상황에 해당한다고 판단하며 A 보험회사의 청구를 기각했습니다.
A 주식회사는 C 주식회사와 우드펠렛 해상적하보험 계약을 체결했습니다. 이후 C 주식회사가 베트남 D 회사로부터 수입하던 우드펠렛 9,867톤이 B 주식회사의 선박으로 운송되던 중 화물창에서 2회에 걸쳐 화재가 발생하여 826.96톤이 훼손되었습니다. A 주식회사는 이 사건 보험계약에 따라 C 주식회사에 보험금 136,506,982원(약 1억 3천 6백만 원)을 지급한 뒤 운송인인 B 주식회사를 상대로 지급한 보험금에 대한 구상금을 청구했습니다.
해상 운송 중 발생한 우드펠렛 화재 사고에 대해 보험회사가 운송인의 과실을 주장하며 구상금을 청구한 상황에서 운송인의 책임 면제 여부 및 원고가 주장하는 운송인의 과실 인정 여부가 주요 쟁점이 되었습니다.
법원은 원고인 A 주식회사의 청구를 기각하고 소송 비용은 원고가 부담하도록 결정했습니다.
법원은 이 사건 사고가 화물 자체나 화물창 내에서 발생한 화재로 인한 사고이므로 상법 제841조와 제795조 제2항에 따라 운송인인 피고의 책임이 면제된다고 판단했습니다. 또한 원고가 주장한 선적 및 적부 과정에서의 수분 유입은 항해용선계약의 특약(FIOST BASIS)에 따라 화주 측의 의무에 해당하며 항해 중 해수 유입이나 시너 및 페인트로 인한 사고 발생 증거가 부족하다고 보았습니다. 예정 항로 이탈 주장 또한 직항의무 위반으로 단정할 수 없으며 환기 소홀 주장 역시 증거가 없고 설령 그렇다 하더라도 운송인의 과실로 보기 어렵다고 판단하여 원고의 모든 주장을 받아들이지 않았습니다. 따라서 피고는 화물 손상에 대한 채무불이행 또는 불법행위 책임을 부담하지 않으므로 원고의 구상금 청구는 이유 없다고 결론 내렸습니다.
상법 제795조 제2항에 따르면 해상 운송인은 화재로 인한 운송물의 멸실, 훼손 또는 연착에 대해 책임지지 않습니다. 다만 화재가 운송인의 고의나 과실로 발생한 경우에는 그러하지 않습니다. 이 사건에서는 화재 사고가 발생했으므로 운송인인 피고는 이 조항에 따라 책임이 면제될 수 있었습니다. 상법 제796조는 해상 운송인이 책임을 면할 수 있는 여러 사유를 규정하고 있으며 그중 제10호는 운송물의 특수한 성질이나 숨은 하자 또는 고유한 결함으로 인한 손해에 대해 운송인의 책임이 면제된다고 명시하고 있습니다. 피고는 우드펠렛의 자연발화 가능성을 이 사유로 주장했습니다. 상법 제841조는 '선박소유자의 면책'에 관한 규정으로 선박소유자는 선장, 선원, 도선사 및 그 밖의 사용인의 항해에 관한 행위 또는 선박의 관리상의 행위로 인한 손해에 대하여 책임이 면제된다는 해상 운송의 특수성을 반영한 조항입니다. 이 조항은 운송인의 책임 범위를 제한하는 중요한 법리입니다. 'FIOST BASIS'는 해상 운송 계약, 특히 항해용선계약에서 사용되는 용어입니다. 'Free In and Out, Stowage and Trimming'의 약자로 화물의 선적(In), 하역(Out), 적부(Stowage), 정리(Trimming) 작업에 드는 비용과 책임이 선주(운송인)가 아닌 용선자(화주 측)에게 있음을 의미하는 특약입니다. 이 사건에서는 우드펠렛의 선적 및 적부 과정에서의 수분 유입 책임이 이 특약에 따라 화주 측에 있다고 법원은 판단했습니다.
해상 운송 계약 시에는 운송할 화물의 특성을 면밀히 파악하고 그에 따른 적절한 보관 및 운송 방법을 계약서에 명시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특히 우드펠렛처럼 자연발화 가능성이 있는 화물은 더욱 세심한 주의가 필요합니다. 운송 계약서, 특히 용선계약서에 포함된 'FIOST BASIS'와 같은 특약 조건은 선적, 적부, 하역 등의 의무와 책임 소재를 결정하므로 계약 체결 전 반드시 내용을 상세히 확인해야 합니다. 운송 중 화물 손상 사고가 발생했을 경우 사고 발생의 정확한 원인과 운송인의 과실 여부를 입증할 수 있는 객관적인 증거 자료(예: 선박의 화물창 상태 검사 기록, 항해 중 선박의 기록, 기상 정보 등)를 철저히 확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상법상 해상 운송인의 책임 면제 사유가 폭넓게 규정되어 있으므로 사고가 발생했을 때 이 규정에 해당하는지 여부와 예외 사유(운송인의 고의나 과실 등)를 입증하기 위한 충분한 준비와 증거 수집이 필요합니다.
서울중앙지방법원 2022
광주지방법원순천지원 2020
부산고등법원 2016
서울서부지방법원 20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