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음주/무면허
피고인 A는 운전면허 없이 천안시 서북구 도로에서 약 10m 구간을 차량으로 운전하여 도로교통법 위반(무면허운전) 혐의로 기소되었습니다. 피고인은 조수석에 탑승한 G과 다툼이 발생하여 어쩔 수 없이 차량을 이동한 것이므로 긴급피난에 해당한다고 주장하였으나, 법원은 이를 받아들이지 않고 피고인에게 벌금 100만 원을 선고하였습니다.
피고인 A는 2018년 5월 22일 새벽, 천안시 서북구에 있는 도로변에 정차된 자신의 차량 안에서 조수석에 탑승한 G과 다툼이 발생했습니다. 피고인은 이 다툼과 주변에 있을 수 있는 G의 친구들을 피하기 위해, 운전면허 없이 약 10m 가량 차량을 운전했습니다. 이후 도로 한가운데에서 소란이 발생했는데, 피고인은 이것이 도로를 막지 않기 위한 어쩔 수 없는 운전이었다고 주장했습니다.
운전면허 없이 차량을 운전한 피고인의 행위가 형법상 '긴급피난'에 해당하는지 여부와 긴급피난의 성립 요건을 충족하는지에 대한 법원의 판단입니다.
법원은 피고인에게 벌금 100만 원을 선고하고, 벌금을 납입하지 않을 경우 10만 원을 1일로 환산한 기간 동안 노역장에 유치하도록 명령했습니다. 또한, 벌금에 상당하는 금액의 가납을 명령하고 소송비용은 피고인이 부담하도록 하였습니다.
법원은 피고인 A의 무면허 운전 사실을 인정하면서도, 피고인이 주장한 '긴급피난'은 인정하지 않았습니다. 법원은 피고인이 최초 정차된 차에 있었을 때는 긴급한 위험이 없었고, 이후 도로에서 발생한 소란은 피고인이 자초한 위난에 불과하다고 보았습니다. 또한, 운전면허가 없는 피고인으로서는 차량을 운전하는 대신 다른 방법으로 자리를 벗어나는 것이 적절했으며, 무면허 운전이 사회윤리나 법질서 전체에 비추어 적합한 수단으로 볼 수 없다고 판단했습니다. 피고인이 반성하지 않고 납득할 수 없는 변명으로 일관하며, 과거 음주 교통사고 및 무면허운전으로 처벌받은 전력이 있음에도 다시 범행을 저지른 점 등을 고려하여 벌금 100만 원의 형을 선고했습니다.
도로교통법 제152조 제1호, 제43조 (무면허운전 금지 및 처벌): 운전면허를 받지 않거나 운전면허의 효력이 정지된 사람이 자동차 등을 운전하는 행위를 금지하고 이를 위반할 경우 처벌하도록 규정하고 있습니다. 이 사건에서 피고인은 운전면허 없이 차량을 운전했기 때문에 이 법률을 위반한 것입니다. 형법 제22조 제1항 (긴급피난): '자기 또는 타인의 법익에 대한 현재의 위난을 피하기 위한 행위는 상당한 이유가 있는 때에는 벌하지 아니한다.'는 규정입니다. 이 법리는 범죄의 위법성을 조각하는 사유 중 하나로, 어떤 행위가 위법해 보이지만, 위급한 상황에서 자신이나 다른 사람의 법적으로 보호되는 이익을 지키기 위한 불가피한 선택이었고 그 방법이 합리적일 때 처벌하지 않는다는 것입니다. 하지만 법원은 이 사건에서 피고인의 운전 행위가 긴급피난의 요건 (현재의 위난 부존재, 상당한 이유 부존재)을 충족하지 못한다고 판단했습니다. 즉, 위난이 있더라도 무면허 운전이 유일한 수단이 아니었고 사회윤리에 적합하지 않다고 본 것입니다. 형법 제70조 제1항, 제69조 제2항 (노역장 유치): 벌금을 납부하지 않을 경우 일정 기간 동안 노역장에 유치하여 노역에 복무하게 하는 제도입니다. 10만 원을 1일로 환산하여 유치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형사소송법 제334조 제1항 (가납명령): 법원이 선고한 벌금 등 재산형에 대해 판결 확정 전이라도 잠정적으로 납부를 명할 수 있는 규정입니다. 이는 도주의 우려나 재산 은닉 등의 가능성을 방지하기 위한 것입니다. 형사소송법 제186조 제1항 (소송비용 부담): 유죄 판결을 받은 피고인에게는 소송에 소요된 비용을 부담하도록 하는 규정입니다.
무면허 운전 금지: 어떠한 상황에서도 운전면허 없이 차량을 운전하는 것은 도로교통법 위반에 해당하며 엄중한 처벌을 받을 수 있습니다. 긴급피난의 요건: 위급한 상황에서 법규를 위반하는 행위가 정당화되려면, 해당 행위가 위난을 피할 수 있는 유일한 수단이었는지, 그리고 그 행위로 인해 침해되는 이익보다 보호되는 이익이 더 크고 사회윤리에 적합한지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판단됩니다. 단순히 다툼을 피하기 위한 운전은 긴급피난으로 인정되기 어렵습니다. 대체 수단 모색: 위급 상황 시, 법규를 위반하는 행동 대신 다른 합법적인 방법을 먼저 찾아야 합니다 (예: 차량에서 내려 다른 장소로 이동, 경찰에 신고 등). 과거 전력의 영향: 과거에 음주운전이나 무면허 운전 등으로 처벌받은 전력이 있다면, 유사한 범죄를 저지를 경우 가중된 처벌을 받을 수 있습니다. 반성의 태도: 재판 과정에서 자신의 잘못을 인정하고 반성하는 태도는 양형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납득하기 어려운 변명으로 일관하는 것은 불리하게 작용할 수 있습니다.
서울중앙지방법원 2021
대전지방법원천안지원 2018
인천지방법원 2023
전주지방법원남원지원 20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