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동
국가와 지방자치단체는 청년의 경제적 자립과 안정적인 금융생활을 지원하기 위한 대책을 마련해야 합니다(「청년기본법」 제22조제1항).
신용회복위원회에서는 대학생 및 청년 미취업자의 건강한 사회 편입을 위해 개인채무를 조정하는 특별지원 프로그램을 운영합니다[신용회복위원회 홈페이지, 개인채무조정―특별지원 프로그램―대학생·미취업청년지원(www.ccrs.or.kr)].
지원 대상은 금융회사 채무를 3개월 이상 연체하고 있는 대학생 및 대학원생 또는 만 34세 이하의 청년 미취업자입니다[신용회복위원회 홈페이지, 개인채무조정―특별지원 프로그램―대학생·미취업청년지원(www.ccrs.or.kr)].
신청 서류는 주민등록등본, 신분증, 재학증명서(대학생의 경우), 고용보험피보험자격 이력내역서 또는 사실증명원(청년 미취업자의 경우), 재산 보유 시 관련 서류(부동산 등기부등본, 자동차등록증 등)를 구비해야 합니다[신용회복위원회 홈페이지, 개인채무조정―특별지원 프로그램―대학생·미취업청년지원(www.ccrs.or.kr)].
신청 방법은 신용회복위원회 전국 지부 또는 서민금융통합지원센터를 방문하거나 공동인증서를 소지하고 있는 경우 신용회복위원회 사이버지부(www.cyber.ccrs.or.kr)를 통해 인터넷으로 상담 및 신청할 수 있습니다[신용회복위원회 홈페이지, 개인채무조정―특별지원 프로그램―대학생·미취업청년지원(www.ccrs.or.kr)].
신용회복위원회의 개인채무조정 특별지원 프로그램에 관련된 자세한 안내는 신용회복위원회 고객만족부(☎1600-5500)로 문의하거나 신용회복위원회 홈페이지(www.ccrs.or.kr)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우리 지역엔 이런 제도가 있어요!
< 서울특별시의 청년 학자금대출 신용회복 지원 >
학자금대출로 인해 신용유의자(신용불량자)가 된 19세 이상 39세 이하의 서울거주 청년을 대상으로 분할상환 약정체결에 필요한 초입금 지원 및 신용유의정보 등록 해제를 지원합니다.
신청 방법은 서울청년포털(www.youth.seoul.go.kr), 금융·복지―금융지원―학자금대출 신용 회복 페이지에서 온라인 신청합니다.
<출처: 서울청년포털, 금융·복지―금융지원―학자금대출 신용 회복(www.youth.seoul.go.kr) 참조>
< 부산광역시의 청년 학자금대출 신용회복 지원 >
한국장학재단 학자금대출 장기연체로 인해 신용도판단정보가 등록되어 취업 및 경제활동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만 18세 이상 34세 이하의 부산거주 청년을 대상으로 학자금 대출 분할상환약정 체결을 위한 초입금(채무금액의 5%) 지원 및 신용도판단정보 등록 해제, 지연배상금 전액 감면 등을 지원합니다.
신청 방법은 부산청년플랫폼(www.busan.go.kr/young), 생활안정―학자금 대출 신용회복 지원 페이지에서 온라인 신청서를 작성·제출합니다.
<출처: 부산청년플랫폼, 생활안정―학자금 대출 신용회복 지원 참조(www.busan.go.kr/young)>
“대학생 학자금 대출이자 지원”사업은 대학생은 학업에 집중할 수 있도록, 학부모는 가계부담을 덜 수 있도록 학자금 대출이자를 지원하는 사업입니다[서울청년포털, 금융·복지―금융지원―학자금대출 이자 지원(www.youth.seoul.go.kr)].
지원 대상
지원 내용
신청 방법
지원 대상
신청 방법
경기도청 접수센터(www.apply.gg.go.kr)에서 주민등록초본, 재학 또는 휴학증명서(재학생 또는 휴학생의 경우), 졸업 또는 수료증명서(졸업생 또는 수료생의 경우), 건강보험 자격득실확인서(졸업생 또는 수료생의 경우), 직계존속의 주민등록초본 및 가족관계증명서(본인은 경기도 거주기간이 1년 미만이나 직계존속이 경기도에 1년 이상 거주한 경우)를 구비하여 온라인으로 신청합니다[경기청년포털, 금융·법률(www.youth.gg.go.kr)].
각 지역별 지방자치단체의 학자금대출 이자 지원 사업에 관련된 자세한 안내는 한국장학재단 홈페이지, 학자금대출―학자금대출 상환 안내―지자체 이자 지원(www.kosaf.go.kr)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서민금융진흥원 모바일 앱(오프라인 불가)을 통해 서류 제출 및 비대면 심사를 신청합니다. 심사 결과가 나오면 햇살론 유스 협약은행 중 우대서비스 등을 비교하여 원하는 은행에 대출 신청을 합니다[서민금융진흥원 홈페이지, 금융상품―생활안정자금―햇살론 유스(www.kinfa.or.kr) 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