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미국 금융시장에서 은근슬쩍 터져나오는 이야기들 중 하나가 바로 ‘사모대출’ 부실 문제인데요. 잘 모르시는 분들을 위해 간단히 설명하면, 사모대출은 공공 시장을 거치지 않고 특정 투자자들에게 직접 빌려주는 대출 구조를 말해요. 겉보기엔 괜찮아 보이지만 최근 미국의 저신용 자동차 대출업체들이 줄줄이 파산하면서 작은 균열이 금융 시장 전체를 뒤흔들 수 있다는 징후로 주목받고 있죠.
대표적인 예로 '프리마렌드'와 '트라이컬러' 같은 자동차 대출 업체가 파산 신청을 했어요. 신용 낮은 사람들을 상대로 고금리 자동차 금융을 해왔던 이 업체들이 무너지면서 대규모 손실이 투자은행과 지역은행으로 번지고 있답니다. 지역은행들이 부실 대출을 감당하지 못하고 손실을 인정하는 상황까지 오며 시장은 매우 불안해졌죠.
무디스 등 신용평가사들은 아직 큰 금융위기로 번질 조짐은 없다고 낙관하지만, 영국 영란은행 총재는 "2008년 금융위기 직전에 봤던 낙관론과 너무 닮아 위험하다"라고 경고해요. 실제로 과거 금융위기때 주택담보대출(서브프라임 모기지) 문제도 처음엔 ‘사소한 것’으로 치부됐던 거 다들 기억하실 거예요.
지난 15년 간 급성장한 사모대출 시장은 금융회사의 직접 대출 수요가 높아진 결과인데요. 규모가 커진 만큼 부실 위험도 커지고 있어요. JP모건 CEO는 이걸 ‘바퀴벌레’에 비유하며 “한 마리가 발견됐으면 더 많을 것”이라며 이미 경고음을 울렸답니다.
이와 함께 AI 버블이나 유동성 장세에 따른 비정상적 상승세까지 겹치면서 주식 시장 역시 누가 봐도 불안한 상태랍니다. 기업 실적과 맞지 않는 주가 상승은 결국 거품이라는 법칙도 빼놓을 수 없지요.
사모대출이 복잡한 만큼 투자자들과 대출 업체 사이에 법적 분쟁도 가끔 발생합니다. 예를 들어, 미국의 지역 은행들이 사모 투자 회사와 선순위 담보권 문제로 소송을 제기하기도 했는데요. 이런 분쟁은 불투명한 대출 구조와 관련 계약의 모호성에서 비롯되므로 개인 투자자라면 계약서 꼼꼼히 확인하고 위험 분산에 신경 써야 해요.
특히 일반 투자자들이 쉽게 접하기 어려운 사모대출 시장의 이런 이면은 앞으로 금융 분쟁이나 투자 관련 법률 문제에서 자주 등장할 수 있으니 한번쯤 알아두면 유익하답니다. ‘작은 균열이 큰 균열을 낳는다’는 교훈처럼 지금의 경고등을 무시하지 않는 지혜가 필요해 보여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