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제 기간이나 명절 연휴, 여행지를 가면 한 번쯤은 겪는 '바가지 요금' 이야기예요. 해삼 한 접시에 7만원? 삼겹살인데 절반 이상이 비계라니? 듣기만 해도 어이가 없죠. 이런 사례들이 점점 늘고 있지만 법적으로 제재하기가 꽤 까다롭다는 사실은 아시나요?
그 이유는 명확해요. "가격은 시장 논리에 맡긴다"라는 정부 입장 때문에, 사기를 치거나 가짜 메뉴판이 아니면 처벌 근거가 부족해요. 쉽게 말해, 바가지 씌운다고 해서 무조건 법을 어긴 건 아니라는 거죠.
부산에서 해삼 7만원 사태가 터졌을 때 구청이 내린 건 고작 시정 명령과 60만원 과태료 정도였어요. 이게 과연 바가지 씌운 이미지에 상응하는 ‘벌’일까요? 울릉도 삼겹살 집은 7일간 영업정지, 강원 속초 대포항은 자정 결의가 전부였죠. 큰 제재가 없으니 바가지 문제는 되풀이되고 또 되풀이되고 있어요.
바가지 문제는 단순히 피해자가 돈을 더 쓰는 것을 넘어 관광지 전체에 악영향을 줘요. 한국 내 관광 소비가 줄고 있는 배경에는 이런 믿음 깨지는 경험들이 있어요. ‘바가지 동네’라는 오명은 한번 붙으면 쉽사리 벗어나기 힘들고 관광객 재방문률에도 치명적입니다.
여행은 힐링인데 바가지를 쓰면 스트레스가 배로 늘죠. 이런 문제들이 줄어들려면 법적 제재 외에도 업계의 자정 노력과 소비자들의 현명한 판단이 필요해 보여요. 다음 여행 때는 ‘바가지 먹히지 않는 손님’이 되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