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롯데카드 개인정보 유출 사건이 터지면서 국회에서 긴급 간담회가 열렸어요. 국민의힘 정무위원들이 금융당국과 롯데카드 측을 대상으로 질타를 퍼부으며 실제 국정감사를 방불케 했죠.
이번 유출 사건은 단순 해킹 이상의 문제에요. 성인이라면 거의 하나씩 가지고 있는 신용카드 정보가 털렸는데, 롯데카드는 사고 발생 18일 만에야 신고하니 "늑장 대응"이라는 비판이 빗발치고 있답니다.
국민의힘 의원들은 MBK파트너스 김병주 회장이 직접 간담회에 참석하지 않고 윤종하 부회장을 대신 내세운 걸 강하게 질책했어요. 윤 부회장이 "매 맞는 역할"이라는 말까지 나오고 있어요. 손바닥 뒤집듯 책임을 회피하는 태도가 과연 이 사건의 피해자들을 위한 것인지 의문입니다.
금융위원회와 금융감독원도 도마 위에 올랐는데요. "사고 터지고 나서 엄벌하겠다"는 말은 모두가 할 수 있지만, 진짜 중요한 건 사고가 터지기 전 제대로 막는 시스템이었죠. 카드사와 금융당국이 보안을 너무 안일하게 생각한 게 아니냐는 비판이 거셉니다.
롯데카드는 2차 피해 보상 의지를 내비쳤지만, 국민들은 롯데카드와 MBK파트너스가 내세우는 보안 투자액과 대응책이 과연 실질적인 변화로 이어질지 쉽게 납득하지 못하고 있어요.
앞으로 10월 국정감사에서 김병주 회장이 증인으로 채택될 가능성이 크고, 대응 미흡 시 MBK파트너스에 대한 단독 청문회까지 열린다니 지켜볼 일이 많겠어요.
결국, 개인의 민감한 정보가 기업과 금융당국의 느슨한 태도로 얼마나 쉽게 노출될 수 있는지, 그리고 그 책임을 누가 어떻게 지는지가 가장 큰 관심사로 떠오르는 사태입니다.
우리 모두 이런 일이 다시 일어나지 않도록 감시의 눈을 계속 유지해야겠죠? 롯데카드 개인정보 유출은 단순한 해킹 사고가 아니라 우리 일상의 법적 안전망을 점검하는 경고등이라고 볼 수 있을 거예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