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노동
이 사건은 전 직원 A씨가 F공단을 상대로 미지급된 임금 3,622,154원을 포함한 여러 금액을 지급하라고 청구한 임금 소송입니다. 법원은 A씨의 청구 중 일부인 1,085,087원과 이에 대한 지연 이자를 지급하라는 판결을 내렸습니다.
원고 A씨는 F공단에 재직하며 발생한 임금 중 일부인 '피크임금 증가분 보수차액' 등 여러 항목의 임금이 제대로 지급되지 않았다고 주장하며 총 3,622,154원과 지연 이자를 청구했습니다. 피고 F공단은 이에 대해 다투었지만 법원은 원고의 주장 일부를 받아들였습니다. 특히 2017년 7월부터 2019년 12월까지의 '피크임금 증가분 보수차액' 합계액 974,909원이 쟁점 중 하나였습니다.
주요 쟁점은 F공단이 전 직원 A씨에게 지급해야 할 임금 즉 '피크임금 증가분 보수차액'을 포함한 미지급 임금의 존재 여부와 그 정확한 금액이었습니다.
법원은 F공단이 원고 A씨에게 1,085,087원을 지급하고, 이 금액에 대해 2020년 1월 15일부터 2023년 5월 18일까지는 연 5%, 그 다음날부터 실제로 갚는 날까지는 연 20%의 이자를 더하여 지급하라고 판결했습니다. 원고의 나머지 청구는 기각되었으며, 소송 비용은 원고와 피고가 각자 부담하도록 했습니다. 이 판결의 1항은 즉시 강제집행이 가능하다고 명시했습니다.
법원은 원고 A씨의 임금 청구 중 일부를 인정하여 F공단에게 1,085,087원과 지연 이자를 지급하라는 결정을 내렸습니다. 이는 원고가 당초 청구했던 금액보다는 적지만, 미지급 임금의 존재를 인정받은 결과입니다.
이 사건은 미지급된 임금에 대한 청구이므로 주로 '근로기준법'과 '민법'이 적용됩니다. 근로기준법은 근로자의 임금 청구권을 보장하고 임금 지급의 원칙을 정하고 있으며, 민법은 채무 불이행에 따른 손해배상 및 이자에 관한 규정을 담고 있습니다. 법원이 인정한 연 5%의 이자는 민사 법정 이율에 해당하며, 연 20%의 이자는 '소송촉진 등에 관한 특례법' 제3조에서 정하는 지연 손해금 이율로, 소송이 제기되어 판결이 선고될 때까지 지급을 지체한 경우 적용될 수 있습니다. 이 법리는 채권자가 채무자에 대해 정당한 채권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채무자가 이를 제때 이행하지 않아 발생하는 손해를 배상하기 위한 것입니다.
임금 체불이 발생했다고 판단될 경우,